d라이브러리
"비누"(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세계적인 배터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LG그룹의 핵심 계열사다. 설립 초기 치약과 비누를 생산했던 LG화학은 현재 석유화학 기초제품, 의약품과 전자제품 소재뿐만 아니라 전기차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현재 이곳 기술연구원에 근무하는 연구원만 3000명이 넘는다. ... ...
- [코로나19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손 소독제 성분이 얼굴 피부나 눈 등에 자주 닿아서 좋을 건 없다”며 “손 소독제는 비누로 손을 씻을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할 대안으로 생각하는 게 좋다”고 말했습니다. Q 확진자 다녀간 곳에 소독제 뿌리면 효과 있나요?A 수건에 소독제 묻혀 닦는 게 효과적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살모넬라, 대장균 같은 일반 박테리아의 감염 위험은 있는 만큼 반려동물을 만진 뒤에는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고합니다. 도움 남재환 가톨릭대 생명공학과 교수,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이동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총괄과장,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 제롬 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뽀글뽀글 비눗방울을 키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비눗방울을 불면 체온으로 수분이 더 빨리 증발해 쉽게 터지지요. 하지만 장갑을 끼면 비누 막까지 체온 전달이 더뎌 증발이 느리게 일어나고 더 오랜 시간 모양을 유지할 수 있어요. 또, 세제 물에 투명한 점성 액체인 글리세린을 넣어주어도 비눗방울이 오랫동안 터지지 않고 모양을 유지하는 데 ... ...
- 꺼지지 않는 불의 원인은 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기름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름이에요. 빵, 과자, 라면뿐만 아니라 세제, 비누 등에도 들어 있답니다. 즉, 인도네시아에서는 열대우림을 베어내 돈이 되는 팜나무 농장을 세우는 거예요. 그밖에도 종이의 재료인 펄프, 다양한 작물, 도로와 도시 건설을 위해 열대우림의 울창한 ... ...
- [통합과학교과서] 사라진 세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기름을 섞어 만든 특별한 물방울과 빛으로 그린 그림이에요. 지난해 연구팀은 비누와 세제에 쓰이는 계면활성제와 기름을 이용해 다양한 액체방울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었어요. 그러다 연구팀은 색소를 따로 넣지 않았는데도 이 액체방울 구조가 푸른색을 띠는 것을 발견하곤 왜 이 푸른색이 ... ...
- [섭섭박사 실험실] 추억은 방울방울 비눗방울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잘 늘어나지 못하고, 따라서 공기를 불어 넣어도 방울이 금세 터져 버린답니다.한편, 비누나 세제는 물과 친한 부분(친수성)과 물과 친하지 않은 부분(소수성)을 함께 지니고 있는 ‘계면활성제’예요. 세제를 물에 녹이면 물 분자 사이에 계면활성제 분자가 끼어들며 물 분자 간의 인력을 방해해 ...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물과 기름에 모두 잘 녹는 ‘계면활성제’의 특징을 갖고 있어요. 이 때문에 곰피를 비누처럼 사용하면 옷에 묻은 기름때를 지울 수 있지요. 뿐만 아니라 우리 선조들은 젤라틴이 풍부한 민어의 부레로 접착제를 만들거나, 상어의 꺼끌꺼끌한 피부를 사포처럼 사용하기도 했답니다. 이처럼 ... ...
- [10대의 약] 단체 폭풍 설사 유발하는 식중독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옮겨지고 다시 친구들에게 옮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휴대전화를 만지고 난 뒤에는 비누로 손을 씻고, 약국이나 인터넷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일회용 알콜솜이나 항균 티슈 등을 이용해 휴대전화를 자주 닦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필자소개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 ...
- 탐험┃일본, 우주에 머물기 위한 필수품, 우주화물선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탐사에 필요한 각종 기술을 성공적으로 입증한 히텐은 1993년 4월 10일 달의 분화구인 스테비누스와 푸르네리우스 사이에 계획대로 충돌하면서 임무를 종료했다.일본이 처음으로 달 탐사에 성공한 건 2007년 9월 14일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셀레네(SELENE) 1호 위성이다. 셀레네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