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빅"(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몰랐던 지구 정보 밝힌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또 초분광 영상 특유의 대용량 정보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가 핵심 기술 중 하나다. 빅데이터 처리 기술이 필요한 이유다. 영상 처리 기술 자체에도 여러 수학적 기법이 쓰인다. 영상은 픽셀들의 2차원 배열로 이뤄진다. 픽셀마다 세분화한 대역으로 정보를 얻으면 특정 대상이나 물질을 더 쉽게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풀면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게 하는데, 이건 기계가 빅데이터를 학습하는 방법이다. 빅데이터 분석을 하려면 어마어마한 양의 문제를 풀어야 한다. 인간은 그렇게 많은 노력을 할 수 없게 태어났다. 중학생 때 수학에 크게 흥미를 느끼지 못했던 아들도 1주일 동안 하나의 체스 문제를 붙잡고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에서 한복 입자, 설날이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획했습니다.오하~! 제페토가 재미있는 건, 크리스마스나 설날, 추석처럼 현실에서의 빅 이벤트를 메타버스에서도 함께 즐기고 그 분위기에 흠뻑 빠져들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일 거예요. 올해 1월 22일은 설날이니까 친구들의 제페토 아바타에게도 예쁜 한복 한 벌 입혀주는 게 어때요? 제페토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AI)’이란 단어가 소셜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언급됐는지 분석해봤다. 과학동아가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의 긍부정 분석 기능은 인공지능, 또는 AI란 단어가 소셜 네트워크에서 어떤 단어와 함께 언급됐는지 통계를 낸다. 함께 언급된 단어를 긍정, 중립, 부정 단어로 구분해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더 라인에서는 서울 전체 인구에 맞먹는 900만 명이 살아갈 예정입니다. 이들은 모래 사막 한가운데 위치한 더 라인 내에서 자급자족할 예정이죠 ...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동식물의 유전자와 생육 및 영양소에 대한 빅데이터 수집 및 연구가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 ...
- [광고]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지닌 ‘곰 세 마리’ 가족 범죄단, 여기에 날 잡아 현상금을 받으려고 노리는 빌런 ‘빅 배드 울프’까지!어쩔 수 없이 키티 말랑손과 나, 페로는 소원별을 쫓아 동맹을 맺기로 해. 우리 삼총사는 방해꾼들을 피해 무사히 소원별에 도착하고 잃어버린 목숨을 되찾을 수 있을까? 궁금한 친구들은 1월 ... ...
- [수학뉴스] 데이터 폭증! 단위 표현 4개 추가됐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건 1991년 이후 31년 만입니다. 새로운 국제단위 접두어가 추가된 이유는 세계적으로 빅데이터가 중요해지며 데이터 양이 폭증해, 기존 단위로는 표현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지구의 질량은 6Rg(론나그램)으로, 목성의 질량은 1.9Qg(퀘타그램)으로, 전자의 질량은 1rg(론토그램) 등으로 ... ...
- [에디터노트] 서른 여덟 즈음에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겁니다. 현장 과학자가 직접 말하는 연구 이야기(필드), 과학덕후를 위한 즐거운 과학(빅잼) 등 새로운 연재기획물들이 많이 보일 겁니다. 첫 스텝은 성공적이었을까요? 궁금하네요. 이제 중년을 코앞에 둔 서른 여덟. 그래도 그동안 열심히 살았습니다. 아이도 무럭무럭 자라고 있고요. 과학동아는 ... ...
- [인터뷰] “냉소적인 세계관을 만들고 싶어 숫자를 활용했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세상이 있다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지요. 또 당시에 소설 에 등장하는 빅브라더에 꽂혀 국가의 폭력성, 계급 차 이런 이야기에 관심이 있었어요. 그래서 국가가 내세를 통제하는 세상을 만들고, 그 속에 주인공 설진을 넣은 거지요. Q ─ 내세 등급, 내세 좌표 등 소설의 주요 장치를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일기예보 기술과도 비슷하다. 이러한 기술에 빠질 수 없는 분야가 빅데이터와 기계학습이다. 한편 난류 현상에 대한 해석 자체는 유체역학적 이해를 기본으로 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그 유명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이 쓰인다. 미라틀라스 같은 회사에 수학이 얼마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