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연"(으)로 총 4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을 밝히는 핑크 랜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박원순 서울대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롱우드 가든에서 국제 정원사 양성 과정을 밟았으며, 델라웨어대에서 대중원예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에버랜드에서 식물 전시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국립세종수목원 전시기획운영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나는 가드너입니다’ ‘식물의 위로’ ... ...
- [출동! 슈퍼M] “같은 40인치 TV인데 화면 크기가 다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보내주세요.(asksuperm@gmail.com)로 신청자의 이름, 연락처와 함께 사연을 보내면 됩니다. 사연이 채택된 신청자에게는 소정의 선물을 드려요! ※용어정리비 : 두 수의 양을 기호 :을 사용해 나타내는 걸 말해요. :을 사이에 두고 앞에 오는 수가 비교하는 양, 뒤에 오는 수가 기준이 되는 양이에요. 2:1은 ... ...
- [특집] 온클전화 인터뷰 中 "부모님이 디지털 사용을 제한해 친구와 소통이 잘 안 돼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문제지만, 부족한 것도 학생 입장에서는 충분히 문제로 느껴질 수 있다”며, “다행인 건 사연 속 학생과 부모님이 충분히 의논하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했어요. 이어 “디지털 밸런스를 맞추는 데 정답은 없기에, 가정 내에서 충분한 대화로 조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어요. 한편, 함께 고민 ... ...
- [특집] 금쪽 솔루션 대공개! 디지털 고민 상담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올려준 사연을 듣고 전문가들을 만나 금쪽 솔루션을 받아 왔어. 지금부터 소개되는 사연들은 ‘나 디지털 생활 좀 해봤다~!’ 하는 어린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거라 생각해. 어과동 독자들이 털어놓은 고민, 그리고 전문가들이 답한 금쪽 솔루션. 뭘까 궁금하지 않니? 이제부터 하나씩 소개할게 ... ...
- [특집] SNS, 유튜브 행복하게 누리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SNS나 유튜브를 행복하게 누릴 수 있다”고 강조했어요. 배승민 교수님의 금쪽 솔루션! 사연 속 친구가 느끼는 감정은 남보다 내가 더 나아지고자 하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입니다. SNS에서 보이는 건 가장 멋진 순간의 일부일 뿐이란 사실을 인식하는 게 중요하죠. 부모님들께도 당부드리고 ... ...
- [특집] 혹시 당신은 디지털 과의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보다는 어떤 목적으로 디지털을 사용하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어요. 사연 1 “스마트폰에 중독될까 걱정이에요.”저는 스마트폰에 중독될까 봐 고민입니다. 하루는 학교에서 선생님이 ‘1시간 미만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친구들은 손 들어보라’고 말씀하셨는데, 거의 모든 ... ...
- [특집] 내가 지킨다! 굿커뮤니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굿커뮤니티 조항을 만들고 투표해서 결정했어! 굿커뮤니티 위원회의 이야기를 들어봐. 사연4“온라인 게임을 하는데 상대가 패배하자, 댓글 창에 욕을 하며 방을 나가 너무 속상했어요.”“어떤 사용자가 욕설, 성적인 언어를 담은 게시물을 올려서 화가 나요.”“게임을 하다 졌는데, 같은 팀 ... ...
- [이달의 식물사연] 파리를 유혹하는 갯쥐방울덩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갯쥐방울덩굴(Aristolochia littoralis)은 이름도, 생김새도 참 특이한 식물이다. 꽃가루 매개자를 속여 손쉽게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정도로 영리하게 진화한 식물이기도 하다.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속에 속하는 이 식물은 원래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등 남아메리카 남서부 열대 혹은 아열 ...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의 숲속을 밝히는 횃불생강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봄이 찾아오면 수많은 식물로 가득한 열대온실에서 유독 눈에 띄는 꽃이 있다. 숲속 여기저기에서 횃불이 타오르듯 이 식물은 5~6m 높이로 자라는 기다란 잎줄기들 사이에서 1m 가까이 되는 꽃자루를 올리고 어른 주먹만 한 새빨간 꽃을 피운다. 꽃의 모습이 횃불을 똑 닮아서인지 이름도 횃불생강 ... ...
- 야생동물 구조 1만 데이터가 말해준 것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덫에 걸리고, 낚싯줄에 얽매이고, 어미를 잃었다. 하지만 이야기 속 야생동물의 사연이 전부가 아니다. 지난 11년 동안 구조된 1만 3131마리의 이야기도 있다. 이 중 야생으로 돌아간 개체는 단 38%. 나머지는 모두 생을 달리 했다. 이 통계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없을까. 어디에서, 어떤 이유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