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멧줄기
산줄기
연산
산
산지
d라이브러리
"
산맥
"(으)로 총 60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az3166연구팀은 네팔과 부탄 경계에 있는 히말라야
산맥
동부에 있는 강에서 퇴적물을 채취해 베릴륨 동위원소(10Be)의 비율을 측정했다. 베릴륨 동위원소는 우주선(cosmic ray)이 지표 물질과 반응해 생성되기 때문에 베릴륨 동위원소의 비율을 조사하면 퇴적물이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무인 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는 명왕성을 근접 비행하며 눈이 덮인 것처럼 꼭대기가 흰
산맥
의 사진을 보내왔다. 사진이 찍힌 곳은 명왕성 적도 부근 크툴루 지역의 산꼭대기로, 고도 1.5km부터 산 정상인 고도 3.5km까지는 ‘서리’가 덮여 있었다. 최근 이 서리의 구체적인 조성과 생성 과정이 ... ...
[과학뉴스] 남극대륙에서 4000만 년 전 개구리 화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한 개구리 뼈가 현재 남아메리카의 따뜻하고 습한 칠레 안데스
산맥
에 사는 칼립토케팔렐라과(Calyptocephalellidae) 개구리라 추정해요. 연구팀은 4000만 년 전 남극대륙에도 이 개구리의 현재 서식지와 비슷한 기후 조건이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지요. 연구팀은 “4000만 년 전의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나는 어과동의 귀여운 마스코트이자 봄날의 시인 일리…. 봄만 되면 꽃가루를 날리며 사랑을 전하는 나무가 아름다워 눈물을 흘려…. 엣취! 아니, 알레르기가 아니라 진짜 ... 해요. 중생대 두 번째 시기인 ‘쥐라기’는 지층이 발견된 프랑스 국경의 ‘쥐라
산맥
’에서 이름을 따왔답니다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눈 같은 자연 현상을 현실감 넘치게 표현하기 위해 개발한 알고리듬입니다. 예를 들어
산맥
에 있는 산의 높이는 무작위하면서도 특정 구간 안의 값을 가져야합니다. 말도 안 되게 들쭉날쭉하면 각각이 산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수의 크기 차이가 들쭉날쭉한 일반 난수가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흐르려는 속성이 있어 결국
산맥
위로 치솟게 된다. 특히 남극은 바람이 강하고 건조해서
산맥
을 따라 오른 빙하의 증발도 빠르다. 증발과 동시에 아래에서는 빙하가 계속 위로 치고 올라오니, 다른 빙하에 떨어진 운석들이 이런 빙하의 이동에 따라 한곳에 모이게 된다. 덕분에 한 장소에서 운석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 하지만 이 방법으로도 그렇게 높이 점프하기엔 역부족이다. 결국 세 번째 방법으로
산맥
의 난류를 타면 성층권까지 올라가는 데 성공할 수 있음을 찾아낸다.다만 이 방안들을 얘기할 때 모든 수치가 완벽하지는 않다. ‘대략’ ‘약’과 같은 단어가 여러 번 등장한다. 예를 들어 장대를 이용해 ...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의미하는 ‘한얼’도 우수상 작품으로 주목을 받았다. 장려상 작품 중에는 한반도 태백
산맥
의 정기를 이어받자는 의미의 ‘태백’과 고구려의 옛말인 ‘가우리’,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빛나는 별이 돼 달라는 뜻의 ‘샛별’도 있었다. 어떤 이름이건, 국민들이 지어준 이름이라면 우리나라의 첫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위치한 소백산국립공원에서 이뤄진다. 여우의 먹이인 소형 포유류와 조류가 풍부하고,
산맥
이 넓게 뻗어있어 여우가 서식처를 넓혀가기 적합하다는 판단에서다. 현재까지 방사된 여우는 총 75마리다. 복원사업의 1차 목표는 최소존속개체군을 고려해 2020년까지 50마리의 여우를 야생에서 살아남게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일부 지역에서만 서브밀리미터 망원경이 운영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상망원경의 양대
산맥
은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광학망원경과 전파를 이용하는 전파망원경으로 압축된다. 지상 최대의 ‘눈’ 광학망원경 지상망원경은 우주망원경에 비해 크기와 무게 등 설계 제약이 덜하다는 게 가장 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