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구자
선각자
개척자
파이어니어
전위
선두
선봉
d라이브러리
"
선구
"(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첫 여성 아벨상 수상자 탄생, 비누막 연구를 이끈 캐런 울렌베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주는 상입니다. 노르웨이 과학문학한림원는 해석학과 기하학, 그리고 물리학을 연결하는
선구
자적인 역할을 한 공로로 울렌베커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울렌베커 교수는 고차원 곡면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비누막 형태를 수학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비누막은 항상 에너지를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받고 모교에 자리를 잡은 조선의 자랑이었다. 이화학연구소에서 비타민E에 관한
선구
적 연구로 명성을 얻은 도쿄제국대학 출신의 김양하는 노벨 과학상 후보로 추천해야 한다고 언론에서 보도할 정도였다. 조선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우장춘은 도쿄제국대학에서 종의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오늘날 디지털 신호 변환의 기본이 된 이 기술에는 전파간섭계를 개발한 천문학자들의
선구
적인 노력이 담겨 있다.망원경이 사물을 구별하는 능력을 분해능이라고 하는데, 분해능은 망원경의 크기에 비례하고, 관측하는 빛의 파장에 반비례한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과 비교해 전파 대역에서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근본적으로 바꾸려던 뒤샹은 ‘개념미술’이라는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열며 현대 미술의
선구
자가 됩니다. 변기를 작품으로 만드는 기발함이 지금에 와서는 *레디메이드 개념을 최초로 예술에 도입한 작품으로 기록되고 있지만, 여기에 작품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발사된 지 9년 7개월 23일 만이다. 케플러라는 이름은 광학망원경 연구와 천체물리학의
선구
자로 불리는 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서 따왔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그간 지구에서 약 6500만km 떨어진 지점에서 태양궤도를 따라 372.5일 주기로 공전하며 외계행성을 탐색해왔다.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선정했다. 면역 반응 억제 조절 기작을 이용해 획기적인 암 치료법을 제안한 암 연구
선구
자로서의 업적을 인정한 것이다. 많은 암 연구자들은 이들의 수상 소식을 오랫동안 기다려왔다. 수년 전부터 여러 종류의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놀라울 정도로 성공적인 치료 효과를 보였고, ... ...
장교식 건국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수 있는 전인적 인격의 지성인이자 미래지향적인 전문가로서 공동체 발전을 선도할
선구
자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장 입학처장은 건국대가 추구하는 인재상에 대해 이같이 밝히면서도 “본교에 입학하기 위해 학교의 인재상에 자신을 끼워 맞출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인재상은 말 그대로 ... ...
애매한 무승부보다 확실한 승리를 위해 공격! 3점 승점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데도 큰 역할을 했죠. 현재 우리가 즐기고 있는 축구의 모습을 이끌어낸 현대 축구의
선구
자이자 혁명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식 심판 자격증까지 있었다고 하니 정말 뼛속까지 축구를 사랑했던 분입니다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학문의 경지로 끌어올린 사람은 페르마’라는 말이 있을 만큼, 페르마는 현대 정수론의
선구
자로 불려요. 미분이라는 개념을 거의 처음 쓴 사람도 페르마지요. 프랑스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확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이걸 확률론의 효시로 보고 있어요. 이렇게 대단한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방출돼 지구온난화를 일으킨 것입니다. 광화학 분야의
선구
자인 이탈리아 화학자 자코모 치아미치안은 1912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서 ‘축척된 화석 태양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과연 유일한 길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리고 식물이 광합성을 하듯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