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날"(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순간의 대변신수학동아 l2010년 02호
- 하나둘 알려지면서 최근 쌀이나 보리쌀로 만든 뻥튀기를 향하는손길이 늘고 있다. 설날에 먹는 강정은 뻥튀기한 쌀을 물엿과 설탕에 섞어 만든 전통 음식이다.직육면체 강정을 통해 뻥튀기의 위력을 알아보자. 강정 하나는 보통 가로 4cm, 세로 4cm, 높이 1.5cm에 뻥튀기한 쌀이 약 75개 들어 있다. ...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즉 삭 현상이 들어 있는 날이 음력 1월 1일 되는데, 우리나라와 중국의 시간 차이 때문에 설날이 달라진 것이다. 예를 들어 1997년에는 첫 삭이 우리나라에서는 양력 2월 8일 0시 6분에, 중국에서는 양력 2월 7일 23시 6분에 일어났다. 그래서 우리 나라에서는 설이 양력 2월 8일이 되고, 중국에서는 양력 ... ...
- 2009년은 우주와 함께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천상열차분야지도가 함께 어우러져 들어가게 됩니다.세계 천문의 해 기념 우표와 함께 설날 연하장을 보내면 어떨까요?천문의 해 공식 웹진 오픈1월 15일 세계 천문의 해 공식 웹진 ‘이야진’이 문을 엽니다. 국내외의 각종 행사와 새 소식, 주목할 만한 천문현상 등 다양한 정보가 담길 예정입니다. ...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2호
- 다 온실가스를 만든다. 물을 퍼 올리거나 데우는 데에도 에너지가 쓰이기 때문. 맛있는 설날 음식을 먹고 설거지를 할 때 온수는 꼭 필요한 만큼만 받아서 쓰자. 이런 식으로 물을 데우는 데 쓰는 에너지만 절약해도 1년에 3만4000톤의 이산화탄소가 줄어든다.프로젝트 4 우리 농산물을 먹자!외국에서 ...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더 쫄깃쫄깃해진답니다.셋, 설날에는 왜 가래떡을 먹나요?한 해를 시작하는 명절인 설날에는 가래떡처럼 길게 오래 살라는 의미로 가래떡을 먹어요. 추석에는 한해 동안 열심히 농사를 지어 거둬들인 햅쌀과 햇곡식을 이용해 송편을 빚어 먹는답니다.넷, 설탕이 없던 옛날엔 어떻게 꿀떡을 ...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맞이해 그가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는 쥐의 귀환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4편의 설날 특집 영화를 마련했다. 그를 머리부터 꼬리까지 하나도 빼지 않고 보고 싶은 친구는 지금 바로 눈을 돌려 보자. 어디로? 옆 페이지로….첫 번째 개봉작 ▶ 아이스에이지빙하시대를 건너온 뼈대 있는 ... ...
- 일본어 몰라도 스털링 엔진 만들 수 있다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지난 설날 일본으로 여행을 다녀온 친척에게 선물을 하나 받았다. 일본 학연사에서 만든 ‘대인의 과학 마가진(매거진) 10호’라는 두꺼운 잡지였다. 일본어라고는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한자 몇 개와 숫자를 제외하면 온통 일본어로 쓰여진 잡지를 선물하다니, “어쩌라고?”비닐로 된 포장을 뜯자 ...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새 오천 원권에는 어떤 비밀들이 숨어 있을까?올해 첫 선을 보인 새 오천 원권 보았나요? 설날 새뱃돈으로 받은 오천 원권이 있다면 한번 자세히 살펴봐요. 지폐의 크기는 전보다 더 작아졌지만, 위조를 막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은 더 많이 감춰져 있답니다.새 오천 원권에 숨어 있는 과학!새 오천 ...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과학동아 l2006년 02호
- 무슨 말씀. 60갑자는 음력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진정한 개의 해는 1월 29일 설날부터다.개는 12간지를 대표하는 동물 중에서도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다. 개는 집을 지키고, 양떼를 몰고, 맹인을 안내하고, 마약을 검색하고, 심지어 병을 찾아내면서 맹활약하고 있다. 개를 키우는 사람들은 ... ...
- 야광귀를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2호
- 반가운 친척들도 만나고 친척 어른들에게 세뱃돈도 받는 즐거운 명절이지요. 하지만 설날에는 그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이 번 설에는 잊혀져 가는 설의 풍습과 놀이속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삶의 지혜와 과학의 원리들을 한번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