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균"(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달리 다른 성별의 개체가 없어도 혼자서 자손을 남길 수 있는 ‘무성생식’도 있어요.세균이나 포자식물 등이 무성생식을 해요. 예를 들어 한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짚신벌레는 한 세포가 동일한 두 세포로 나누어지는 ‘이분법’으로 무성생식을 합니다. 이때 세포 내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은 유전 ... ...
- [가상인터뷰] 공기를 전기로 바꾸는 효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데 의미가 있어. Q. 효소가 배터리가 된다고? 대단해!후크 효소는 토양에 사는 세균에서 흔히 발견되어 지속가능한 공급원이 될 수 있어. 시계, LED 전구, 생체 인식 모니터 등 간단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지. 컴퓨터나 자동차 같은 복잡한 장치에도 사용되려면, 좀 더 많은 양의 수소를 ... ...
- 3중으로 안전하게 나노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보석 등 귀중품에 붙여 이름표를 새기거나, 개미, 머리카락, 세균처럼 작은 물체나 생물에 부착해 정보를 담을 수 있어요. 김 교수는 “머리카락이나 반도체와 같이 작은 물체에도 이름 붙일 수 있어, 사물인터넷(IOT*) 실현에 도움될 것”이라며 “개미나 대장균 생명체에 붙이면 ... ...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위, 소장 대장 등 인체의 장관에 서식하는 미생물을 총칭하며 장내미생물에는 세균, 고세균, 곰팡이류, 바이러스 등이 포함됩니다. 사람 한 명의 몸속에 존재하는 장내미생물은 약 300~3000종으로 추정되며, 건조된 인간 분변의 약 약 60%가 장내미생물일 정도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때문에 한 ... ...
- [기획] 봄철 면역은 T세포에게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항체는 세균, 바이러스 같은 외부 물질, 즉 항원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항원과 맞서 싸우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항체뿐만 아니라 우리 몸을 지켜주는 파수꾼들은 무궁무진하다는 사실!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똑똑한 면역세포들을 소개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1039/d2lc01045c 상처가 생기면 우리 몸은 면역세포 등 각종 세포를 동원한다. 상처로 침투한 세균이나 이물질이 주변 조직을 파괴하는 등 문제를 일으키기 전에 막기 위해서다. 상처 치유와 관련된 세포 중 특히 호중구, 단핵구, 림프구, 대식세포, 섬유아세포, 각질형성세포 등은 전기 신호를 따라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세균을 일컫는다. 프리드만 교수는 특히 크루코키디옵시스(Chroococcidiopsis)라는 종의 남세균은 극한 환경에서 잘 버티기 때문에 화성 지표 암석 아래에서도 잘 자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자기장이 없다면 소용없다. 애써 만든 산소가 태양풍에 쓸려가 버릴 것이다. 결국 앞서 짚은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우리는 네 몸을 지켜주는 면역세포야.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외부 물질이 네 몸 안에 들어왔을 때 다양한 방법으로 싸운단다. 면역세포는 같은 세포가 여러 종류의 면역 반응에 관여하기도 하고, 한 세포가 여러 세포로 분화하기도 해서 종류를 구분하기 어려워. 그중에서도 고르고 골라 면역세포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포자, 지하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온도 변화나 유해한 화학물질 등에 잘 버틸 수 있거든요. 이후 살기 좋은 환경이 되면, 세균은 포자 상태에서 깨어나 다시 활동을 시작한답니다. 지하수는 지층 또는 암석 틈새에 고여 있거나 흐르는 물을 말합니다. 바다를 제외하고 전 세계 민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죠. 지표면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수 있어요. 내독소는 세균의 독성물질로, 내독소가 검출됐다는 것은 그만큼 스마트폰에 세균이 많다는 뜻이에요. 또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스마트폰에서는 고양이와 개의 비듬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도 발견됐어요. 우리는 하루에 평균 2600번 이상 스마트폰을 만진다고 해요. 스마트폰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