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량"(으)로 총 1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적 없는 자료들도 데이터화 되고 있다. 데이터화란 어떤 현상을 분석이 가능하도록 수량화 된 형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어떤 현상이 데이터화 되면 쓸모 없어 보이던 자료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물인터넷이 활성화 되면, 치아위생에서부터 식물과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POS 시스템이란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편의점과 같은 소매점에서 상품의 재고관리나 납품수량 결정 등에 사용하는 정보관리 전산 시스템이다. 지금은 POS 시스템이 없는 대형 백화점을 상상할 수 없지만, 당시만 해도 시스템이 처음 도입되는 때여서 시행착오가 많았다. 어떤 분야든 첫 단추를 끼우기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조선에게 공물로 요구했다. 조선은 청이 강요하는 공급량을 조달하기 위해 전에 잡던 수량의 호피와 표피를 먼저 보내고, 추가로 더 많은 호랑이와 표범을 사냥해야 했다. 그 결과 기록에는 호피와 표피의 사용량이 늘어난 이후 호랑이와 표범의 출현도 늘어났다(사냥을 하러가서 만나게 됐다).이후 ... ...
- 성적도 오르는 즐거운 동아리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에너지 미니 자동차 만들기를 했다. 반응도 선풍적이었다. 넉넉히 준비한 미니 자동차의 수량이 다 떨어져 우는 아이가 생겼을 정도였다. 뿐만아니라 은거울 반응 실험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유해물질 알데히드 대신 사용할 물질을 찾는 탐구활동을 토대로 2011년 좋은 학교 박람회에서 은거울 만들기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실용적인 이유, 특히 상업이나 무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연구됐기 때문에 대수학 같이 수량에 관계되는 수학이 발달했다.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10진법도 인도에서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발명했으며, 인도의 무역업자 사이에서 700년 무렵부터 널리 사용됐다.삼각함수도 인도에서 발달했다. ...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이용해 표현한 것이 ‘수요곡선’이다.한편 초콜릿 회사들이 초콜릿을 팔고자 하는 수량을 ‘공급량’이라고 한다. 수요량에서 처럼 공급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가격이다.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모든 요인들이 일정하다면, 초콜릿의 가격이 높아질수록 초콜릿의 공급량은 ...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강의 본류와 지천을 함께 관리하고, 상류와 하류를 동시에 정비하며 수량과 수질을 함께 향상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장단기 계획을 모두 추진해 긴 안목으로 수자원을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것이 지속가능한 발전이다. 이를 위해 소규모 지천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또 재난과 ...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판매한다. 그리고 손님의 정보를 모아 분석한다. 손님이 물건을 살 때마다 품목, 가격, 수량이 입력돼 얼마나 팔리는지를 보고, 편의점에 물건이 충분히 있는지 계산하는 것이다. 손님의 나이와 성별을 구분하는 정보 입력 칸이 있어, 편의점 점원이 정보를 입력한다.이를 이용해 손님에 따라, ... ...
- PART 2. 도시 홍수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도시 곳곳의 천이 말라 ‘건천’이 된 이유는 바로 도시의 하수처리 방식에 있다. 건천은 수량이 적어 수질을 관리하기도 어렵다. 또 그간의 하수처리방식은 도시의 열섬 현상을 일으킨다.빗물이 빠르게 흘러 내려가면 증발될 물도 없어 도시의 기온이 높아진다. 물이 증발하면 열을 뺏아가면서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하수는 강이나 호수와 달리 기후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수량 변화가 작고 천천히 일어난다. 하지만 지하수도 자연스럽게 또는 개발로 인해 고갈될 수 있다. 지하수 고갈을 막기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하수 인공함양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