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골 거래
애고
상용
d라이브러리
"
애용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나는 이 나무는 높이 25m, 폭 8m까지 성장하며 생육이 강하고 사후 관리가 쉬워 관상용으로
애용
돼 왔다.나무는 수심이 30~40cm에 불과한 청계천 수질 관리에 도움이 된다. 여름철에 용존산소가 일시적으로 고갈될 수 있는데, 가로수 그늘이 있으면 그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여름철 도시 열섬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벤처 기업 제노프릭스가 만든 픽스는 테크노 클럽이나 레이브 바에서 이색 악세서리로
애용
되고 있는 디지털 장신구. 177개의 LED로 자신을 나타내는 그림이나 글자를 표현하는 장치다. 목걸이나 팔찌로 착용하고 다니면서 자신을 홍보하는 움직이는 일종의 전광판인 셈. 인터넷이나 ... ...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연마법ㆍ주형법ㆍ원심회전주조법을 이용해 제작하고 있다. 현재 주형주조법이 가장
애용
되고 있다.난시 교정으로 살펴본 콘택트렌즈 원리콘택트렌즈는 원시와 근시뿐 아니라 난시를 교정할 때도 사용된다. 난시는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거나 겹쳐 보이는 증상으로, 안구 굴절면의 곡률이 서로 달라 ... ...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구독률이 급속히 떨어지고 있는 세대는 바로 10~20대 젊은층. 이런 이유로 이들 세대가
애용
하는 모바일 기기는 신문을 위협하는 존재로 여겨져 왔다.하지만 최근 들어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렇게 주장하는 쪽에서는 독자 제보나 반응을 문자메시지로 실시간 받아 보거나, ... ...
VHS vs 베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인기가 다소 떨어지긴 했지만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우리가 TV 다음으로 가장 많이
애용
해온 기기일 것이다. 가정용 VCR에 쓰이는 녹화 기술은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을 표준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의 JVC(Japan Victor Company)가 1976년에 개발했다. 재미있는 것은 당시 녹화 기술 시장의 ...
열전반도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제는 웬만한 사무실이라면 하나쯤 설치해 놓은 냉온정수기. 물을 깨끗이 걸러내고 순식간에 데우거나 식힌다. 크기는 작지만 냉장고처럼 윙윙거리지 ... 이용한 것. 냉온정수기 뿐만 아니라 화장품냉장고나 와인냉장고 등 소형 냉각장치로
애용
되고 있는 열전반도체의 원리를 살펴봤다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용된 곤충들옛 조상들은 전통적인 생약으로 곤충을
애용
해왔다. 약용곤충의 사례는 매우 다양하며, 그 효능과 유효성분을 분석하는 연구가 최근 대단한 주목을 받고 있다. 천연물화학, 질환모델동물을 이용한 검정기술과 활성물질 탐색 체계가 갖춰지면서 지금까지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종종 있지만, 아직까지 비용 면에서 전봇대를 따라오지 못해 사람들은 여전히 전봇대를
애용
한다.전선망에 감긴 지구어찌됐건 전봇대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전선을 지지하는 일이다. 따라서 세상에 아무리 전봇대가 많다 하더라도 전선이 없으면 전봇대 또한 그 존재 의미가 사라진다. 전봇대가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보통 소리 진행 방향을 알아내는 방법으로 소리의 궤적인 음선을 추적하는 방법이
애용
된다. 가상의 음원에서 나온 3천개의 음선(音線)을 통해 한 공간 안에서 어떻게 반사되고 진행하는지를 모아서 살펴보면 소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어떤 실내 마감재를 사용해야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적극적인 참여자가 존재하는 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애용
하고 있는 블로그(blog)나 위키 등 다양한 지식 자원이 코스모피디아에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면 인간의 지식은 기하급수적으로 확장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위키사이트쉽게 말해 읽고 쓰기가 가능한 웹사이트.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