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용수"(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리공학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나눈다. 첫째, 물을 이용하는 이수기술이다. 이수기술은 식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를 공급하는데 필요하다. 이수기술은 댐, 보, 취수구조물, 수로, 하수도 그리고 물류수송을 위한 운하와 주운 시설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서 적용된다. 둘째, 물에 의한 재해를 방어하는 치수기술이다. ... ...
-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설치될 예정이다.일반적으로 제진장치는 철로 만들지만 물탱크에 생활용수나 소방용수를 담아 만들 수도 있다. 물을 사용하면 철을 사용했을 때보다 비용이 줄지만 대신 제진장치의 부피가 커진다.건물의 진동을 센서로 파악해 진동이 생기면 반대방향으로 건물에 힘을 줘 진동을 줄이는 방법도 ... ...
- 하수도 물까지 마신다?과학동아 l2008년 09호
- 하수를 걸러 먹는다는 사실에 거부감이 크다”며 “현재는 주로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로 쓰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하수의 기능이 오염정화의 수준에서 재이용으로 다양해진 것은 고무적이다.기원전 3000년 출발한 하수도지난해 브리티시메디컬저널은 구독자를 대상으로 ‘현대의학의 최고 ... ...
- 하늘이 내려준 돈줄기 빗물과학동아 l2008년 08호
- 탁도가 10NTU 이하면 맑게 보인다. 이는 중수도(한 번 사용한 수돗물을 생활용수나 공업용수로 재활용하는 시설) 탁도 수질기준을 만족할만한 수준이다.빗물저장시설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은 무엇일까. 첫째, 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 스타시티가 들어선 광진구 일대는 매년 홍수가 났다. 아차산은 ... ...
- 그들에게 신(神)은 없었다 크로싱과학동아 l2008년 08호
- 약국에 가지만 처방전이 없으면 약을 살 수 없다는 약사의 말에 힘없이 발걸음을 돌린다.용수의 처량한 뒷모습에 안타까웠던 약사는 보건소에 가면 공짜로 결핵약을 탈 수 있다고 알려준다. 암시장에서도 구할 수 없는 약이 공짜라는 말에 그의 얼굴은 속고만 살아왔던 지난날에 대한 분노로 ...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과학동아 l2006년 11호
- 부피 533만6000m3)를 1000여개 가득 채울 수 있는 양이며, 국민이 21개월 정도 쓸 수 있는 가정용수의 양에 버금간다. 우리 국민이 하루에 가정에서 쓰는 물은 850만m3(177L×4800만명) 정도다.2. 전자렌지를 이용해 커피 한잔 마실 물을 끓이려 한다. 몇초 정도가 적당할까?전자렌지가 있으면 쉽게 커피를 탈 ...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그럼 정부는 왜 ‘물부족’을 얘기하는가. 정부의 물부족은 가뭄이 발생했을 때 우리의 용수 공급 능력이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양을 나타낸다. 여기에는 앞으로 얼마나 심한 가뭄이 올지에 대한 가정과 인간이 물을 얼마나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예측 등 각종 복잡한 요소들이 포함돼 있다 ... ...
- 기획3. 산성비 맞으면 대머리 된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20t짜리 빗물저장조를 설치해 필터로 거른 뒤 빗물을 모았다가 이 건물의 화장실이나 조경용수로 공급할 계획이다. 2년 전부터 빗물수조를 운영하던 기숙사는 200t짜리 빗물저장조를 설치해 1년간 1800t의 수돗물을 절약했다. 수도요금으로 치면 360만원에 달하는 비용을 절약했다. 한 교수는 “많은 ... ...
- 해리포터와 불의 잔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24호
- 활약하는 용들의 연기가 어땠나요? 영화의 재미를 더하는 상식 하나상상 속의 동물 용수백 년 동안 깊은 잠에 빠져 있는 공주를 구하기 위해 떠난 왕자, 수많은 관문을 뚫고 드디어 성 앞에 도착했어요. 마지막으로 상대해야 할 적은 바로 거대한 용. 불을 뿜으며 무섭게 달려드는 용은 정말 두려운 ...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잔디로 깔거나 집집마다 빗물받이를 설치하는 방안, 하수구와 빗물 집수구를 분리해 생활용수로 이용하는 방안도 빗물 자원을 활용하는 한 방법이 되고 있다. 현재 한해 평균 우리나라 전국토에 내리는 빗물의 양은 1천2백76억t. 이 중 7백31억t이 지하로 들어가거나 지표면을 흐르지만 도시지역에서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