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도"(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과학] 식목일 앞으로 3월로 당겨질 수도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중부는 3월 중순이 지나면 나무 심기에 적합한 기온이 돼요. 천정화 임업연구관은 “위도나 고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3월 중순~3월 말 사이가 평균적으로 나무 심기에 적정한 기간”이라 말했어요. 실제로 올해 산림청은 첫 나무 심기를 2월 24일 경상남도 거제에서 진행했지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대칭과 주사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가져야 합니다. 하지만 한 방향으로만 대칭을 이룬다고 가정한다면 홀수 면을 갖는 주사위도 있을 수 있습니다.홀수 면을 갖는 주사위의 예로 아래 그림2를 들 수 있는데요, 두 오각기둥 중 A처럼 오각기둥을 만든 뒤, 직사각형 부분에만 1부터 5까지 숫자를 적고 볼펜처럼 굴린다고 생각해 봅시다. ...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나는 부분이다. 지구는 열린 자기력선 때문에 극지방이 아닌 지구자기위도 70° 내외의 고위도 지역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피터 델라메레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지구물리학연구소 교수는 “자기권을 이해하는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연구”라고 평가했다. doi: 10.1126/sciadv.abd120 ... ...
- 2021 달라진 밥상 위의 물고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수온 22℃ 등온선과 겨울철 수온 12℃ 등온선의 위치가 점차 고위도로 옮겨갔다며, 고위도의 해역이 점차 따뜻해지자 소라 서식 분포도 함께 변했다고 설명했다. doi: 10.3390/jmse8100782비슷한 경향이 밥상 위 단골손님인 고등어와 명태 등의 어획량 변화에도 드러난다. 통계청이 2018년 발표한 ‘기후(수온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이 장면에 대해 김 교수는 “정확하게 계산한다면 비행기와 부딪힌 물체는 경도 127.16°, 위도 36.987°에서부터 포물선 운동을 하며 떨어지기 때문에 계산처럼 평택 쪽에 떨어지는 게 맞다”면서도 “당시 극 중 상황은 비행기가 공항에 거의 도착한 상태여서 시청자가 자연스럽게 상황을 납득하도록 ...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수온 22℃ 등온선과 겨울철 수온 12℃ 등온선의 위치가 점차 고위도로 옮겨갔다며, 고위도의 해역이 점차 따뜻해지자 소라 서식 분포도 함께 변했다고 설명했다. doi: 10.3390/jmse8100782비슷한 경향이 밥상 위 단골손님인 고등어와 명태 등의 어획량 변화에도 드러난다. 통계청이 2018년 발표한 ‘기후(수온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발견해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전 지구 기후에 엄청나게 중요하고, 사람들이 사는 저위도의 기후 패턴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북극의 악화된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부빙 위에 올라선 우리는 쇄빙선에서 탐사 장비를 꺼내오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하지만 수평선 위로 지고 있는 ...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평범함은 거부한다! 10면 주사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정다면체는 모두 공정한 주사위가 될 수 있어요. 그런데 아주 신기하게 생긴 공정한 주사위도 있어요. 바로 면이 10개로 이뤄진 ‘오각 엇쌍각뿔’입니다. 이름이 조금 어렵죠? 엇쌍각뿔은 각뿔 두 개를 어긋나게 붙여놓은 모양이에요. 오각 엇쌍각뿔 모양의 주사위는 ‘던전 앤 드래곤’이라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제트기류, 체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저위도 공기층은 따뜻하고 두꺼워요.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공기도 저위도의 두꺼운 공기층에서 얕은 층의 북극 방향으로 흘러요. 그런데 이때 공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지구의 자전으로 생기는 전향력을 받아서 동쪽으로 흐르는 제트기류가 만들어져요. 제트기류는 남북 온도 ... ...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중위도 지역에서는 가뭄 발생이 늘어 사막화가 더 진행되고, 열대 태평양 지역이나 고위도 지역에서는 강수가 늘어나 홍수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또 연안지역의 지하 대수층에 바닷물이 침투해 지하 수위가 변하거나 지하수가 오염될 수도 있다.해수면 상승은 그저 연안지역에 바닷물이 넘치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