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거인
선거자
투표인
선거 구민
공민
인민
국민
d라이브러리
"
유권자
"(으)로 총 5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민번호와 지문이 안보이는 새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신분증인 셈이다. 오는 2008년 전자투표가 시범 실시되면
유권자
가 가정의 컴퓨터나 유원지 키오스크(공공장소 무인단말기) 등으로 쉽게 투표할 수 있게 된다. Q2_어떻게 작동하나01 카드를 단말기에 갖다 댄다.02 단말기는 신분증에서 정보를 읽어 진위 확인한 뒤 행정망PC로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열띤 토론을 벌였다. 닉슨보다 더 자신 있고 박력 있는 모습을 보인 케네디는 순식간에
유권자
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결국 승리를 거뒀다.순간은 역사를 새로 쓰기도 한다. 아폴로 11호가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했던 그 순간 토끼와 계수나무가 있던 달은 전설이 됐고, 왓슨과 크릭이 DNA ... ...
2. 대권을 향한 손짓 그리고 얼굴표정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오는 12월에 치러질 대통령 선거는 우리의 대표를 뽑는 국가 행사다. 열마디 말보다 더 큰 효과를 주는 한번의 멋진 제스쳐를 보이기 위해 대선 후보들의 ... 신경쓰고 있다. 겉멋에 혹하지 않고 대통령으로서 진정한 자격이 있는 사람을 뽑기위해
유권자
들의 현명한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가진 것도 있다.이같은 여론조사는 민주주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 조사를 통해 후보자는
유권자
가 가장 절실하게 느끼고 있는 문제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목소리가 큰 일부 사람들의 요구만이 아니고 일반인 모두의 요구가 무엇인지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때로 정치적 여론조사를 유세와 ... ...
1 PC, 생활필수품으로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한다. 또 공장에서는 선반을 컴퓨터와 연결하여 쇠를 깎기도 하며 정치가들은
유권자
들의 성향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어디 이뿐이겠는가? 영화도 음악도 비행기 엔진을 설계하는 것도 컴퓨터가 하고 있는 것이다. 컴퓨터는 범용기인 것이다. 소프트웨어만 만들면 그것은 어떤 일이든 처리할 수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과총)를 비롯한 과학기술 관련 압력단체의 몫이다. 또 과학기술자들의 몫이고
유권자
들의 신성한 의무다.결국 과학의 합리주의가 민주주의와 함께 해내야 할 새로운 전통이다.최형섭 전 장관은 "당시 나는 대통령을 그렇게 대단한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박대통령은 나의 말을 95%이상 ... ...
선거와 언론보도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 86년 중의원 참의원 동시선거가 조사대상 이었는데,
유권자
들은 후보에 관련된 정보가 보도됐을 때 이미 작정한 자신의 입장을 강화하는데 정보를 이용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한다. 오히려 언론보도로 후보를 바꾼 사례는 대부분 5% 이내. 이것도 ... ...
컴퓨터 선거전략의 핵심참모로 큰 활약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임은 분명하지만 정치와 선거에 이용됐을 때 부정적인 측면도 적지않다. 먼저 정치인의
유권자
관리는 국민의 입장에서 뒤집어보면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로 이해될 수 있다. 정치인은 자신의 당선을 위해 주민들의 정치성향과 인맥을 조사하겠지만 개인으로 보면 자신의 사상이 타인에게 ... ...
유권자
성향분석에서 득표전략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용납할만하다. 바람보다는 금권이나 압력에 못이겨 투표하는 성향도 나타난다. 이는
유권자
만의 잘못은 아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컴퓨터를 통한 선거전략은 무의미하고 여론조사는 타당성을 잃는다. 민주화의 실현 정도가 컴퓨터가 선거에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는가를 판가름해 준다 ... ...
20세기의 위험 평범한 사고가 무섭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으로 평가했다.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인것은 앞에 언급한 핵발전인데 학생이나
유권자
등 비전문그룹은 '넘버1 위험'으로 평가한 반면에 실업계사람들은 8번째로 순위를 매겼고 전문가들은 20번째로 매겨놓았다. 전문가들은 보통의 발전(発電)이나 철도, 자전거타기 보다도 핵발전의 위험순위를 낮게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