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다룰 줄 아는 인재.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바로 이런 배경에서 신설됐다. 응용 분야 무궁무진한미세 패턴 정렬 기술 개발 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아직 졸업생을 배출하지 않았지만, 창원대 스마트 팩토리에서는 이미 괄목할 만한 성과가 나오고 있다. 4단계 BK21 스마트공장 교육연구단의 ...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KISTI) 슈퍼컴퓨팅센터, 서울대 이론물리센터,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중력응용연구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순수물리이론연구센터(CTPU)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중력파 연구 협력단(KGWG)과 인도 펄사 타이밍 어레이(InPTA)의 회원이다. ▲PDF에서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배터리를 완전 충전하는 기술적 돌파구를 열었습니다.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응용해 아예 배터리가 필요 없는 의료기기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전기적으로 병원균 및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는 마스크와 의복, 전기에너지를 직접 상처에 전달해 회복 속도를 높이는 웨어러블 밴드 등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인재라고 생각했죠. 스마트폰 이후에는 주어진 정보를 가지고 참신한 결과물을 만드는 응용력이 중요한 역량이 됐습니다. 공간 컴퓨팅의 세계가 온다면 또 모르죠. 그때는 실시간으로 보이는 정보를 잘 잡아내는 순발력도 하나의 역량으로 평가받을 수도 있겠습니다. 가봐야 알겠죠 ... ...
- [인터뷰] 세계퍼즐연맹 한국위원이 말하는 수학적 사고력 높이는 질문법수학동아 l2023년 07호
- 그럼에도 박 대표는 평소 도전 문제를 풀어본 적 없던 학생도 기초 수학 문제부터 응용 문제, 도전 문제까지 풀어봐야 수학적 사고력이 생기고, 실력이 늘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이유로 전자공학과를 택했다. 막상 전자공학과에서 공부해보니 물리학 원리를 토대로 한 응용 분야이지만 물리학보단 수학적인 도구들을 더 많이 활용하는 분야였다. 학문의 결이 상상했던 것과 조금 달랐지만, 학부 과정이니 아직 깊이 있는 연구를 해보지 않아서 그럴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일체형인 광전지, 입고 벗을 수 있는 다양한 장비들, 일반 건물의 창문까지 여러 분야에 응용 가능합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는 전자와 정공을 전달하는 전하 전달층 사이에 페로브스카이트가 들어가고, 외부로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도록 전기 저항이 낮은 전극이 각 전하 ...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어떤 개념이 어떤 원리로 나왔는지 아는 것이 중요해요. 그 배경을 알아야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고, 새로운 생각을 해나갈 수 있으니까요. 챗GPT에 선형대수학 문제를 증명하라고 시키며 공부하는 학교 학생들이 많은데, 챗GPT의그럴듯한 답변때문에 우리가 깊은 생각을 안 하고 답변을 믿기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단어 수가 정해져 있어요. 오픈AI가 GPT 코드를 공개하진 않았지만, GPT 기능을 호출해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도구가 있습니다. 저희는 만들고 있는 언어 AI에 GPT를 호출한 뒤, 한 단어에서 질문과 답변을 3번 주고받으면 그 내용을 요약해 필요한 정보는 모두 기억하도록 했어요. 즉 GPT가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미세 전기 기계 시스템) 장치부터, 거대한 플랜트에도 응용하는 역학까지 물리학에 기반한 기초 공학 지식을 폭넓게 접했어요. 첫 마음으로 다시 찾은 나만의 북극성 KAIST 대학원에선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전공하며, 연구와 개발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배웠어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