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하기
안
d라이브러리
"
일고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한국인의 94%가 보인다는 MM형 프리온이 인간광우병에 취약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프리온은 25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단백질이다.CJD 환자를 분석한 결과 가족력, 즉 유전되는 프리온은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밝혀진 돌연변이 ... ...
1. 고유가 시대 기대주 오일 샌드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유가가 급등하면서 오일샌드 붐이
일고
있지요.”오일샌드(oil sand)란 모래와 석유가 뒤범벅돼 있는 토질이다. 지각변동으로 석유가 생성된 층이 지표면 가까이 올라오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휘발성이 높은 작은 탄화수소 분자들이 대부분 날아갔기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열을 줄이는 설계가 우선최근 반도체칩을 설계하는 과학자들의 철학에 큰 변화가
일고
있다. 지금까지 회로를 설계하는 가장 큰 목표는 전력 소모를 고려하지 않고 최고 속도를 내는 것이었다. 하지만 반도체칩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전류를 많이 흐르게 하면, 그 결과로 열이 발생해 오히려 전류가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할 수 없어 꼭 먹어야 하는 영양소지만 최근 합성 비타민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논란도
일고
있다.1824년 6월 26일열역학의 창시자윌리엄 톰슨 켈빈 출생영국의 물리학자로 고체에서 열과 전기가 이동하는 현상을 연구해 많은 업적을 쌓았다. 현재 절대온도의 단위로 쓰이는 켈빈(K)은 그의 이름을 딴 ... ...
태풍 잡는 레이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현재 독도 부근을 지나고 있습니다. 이 영향으로 독도에는 강한 바람과 함께 물결이 높게
일고
있습니다. 태풍의 구름 모습 보시죠.”태풍이 우리나라에 접근하거나 천둥을 동반한 폭우가 심해질 때 TV에서는 기상특보를 내보낸다. 이때 어떤 지점을 중심으로 직선이 돌아가면서 구름의 모양을 ... ...
상식을 깨자, 마음껏 즐기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업무 영역의 최고책임자 자리에 창의성 바람이
일고
있다. 최고재무책임자(CFO), 최고운영책임자(COO), 최고마케팅책임자(CMO) 등에 이어 ‘최고창의성책임자’(CCO: Chief Creative Officer)의 시대가 열렸기 때문. 월트디즈니가 인수한 애니메이션 기업 픽사의 존 라세터 부사장을 필두로 시작된 CCO의 영역은 ... ...
특집3. 백설공주 신드롬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창백해 보일 만큼 흰 피부가 미인의 기준이었다. 최근 이런 ‘백설공주 신드롬’이 다시
일고
있다. 멜라노솜 크기 작아야 희다우리가 보통 ‘어려보인다’고 판단할 때 피부색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한다. 나이가 들었는데도 주름이나 잡티 없이 어린이처럼 맑고 투명한 뽀얀 피부를 ... ...
세계 과학도를 품에 안은 중립국 스위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연구과제에 재정을 지원하는 것은 연방정부의 몫.최근 취리히공대에 새로운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학교에서 약 8km 떨어진 홍게르베르그 지역에 전체 면적 60만~70만m2의 ‘사이언스 시티’(Science City)가 들어서고 있는 것. 취리히공대가 야심차게 준비 중인 이 제2의 캠퍼스에는 생명과학, 정보과학,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보인다”고 밝혔다. 우주는 멀티일 수도최근 미국에서는 진화론을 놓고 다시 논쟁이
일고
있다. 윤 교수는 “천문우주 이론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는 한없이 팽창하는 열린 우주나 언젠가는 끝이 있는 닫힌 우주를 상상해왔다. 그런데 최근 관측 결과를 보면 팽창하다가 어느 지점에서 ... ...
뒤지지 않는 항공우주 자존심 - 유럽우주국(ESA)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살아 있는 한국과학자로는 황우석 교수가 꼽혔다(과학동아 8월호 참조). 최근 전세계에
일고
있는 황우석 신드롬에 한국 과학자들도 예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지난해 4월에 설립된 황우석교수후원회는 우수한 과학자에 대한 민간의 자발적인 후원을 지원하고 과학기술인을 존중하고 후원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