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단"(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아니지만, 분명히 지구 온난화에 일조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그 해법은 일단 디지털 관련 저장소와 계산 기능을 우주로 들고 가는 것이다. 우주에서는 인간의 관점에서 거의 무한한 태양광 에너지를 마음껏 쓸 수 있고 디지털 활동에서 나오는 열은 다시 우주로 배출하면 된다. 우주라는 환경은 ...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아니라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실망할 필요는 없다. 나름의 성과가 있기 때문이다. 일단 LK-99는 온도에 따라 급격하게 저항이 변하는 부도체-도체 전이를 보인다. 또한, 이 상전이 온도 아래에서 물질의 반자성 효과가 보다 강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즉, 반자성 부도체가 도체로 전이되면 일반적으로 ... ...
- 수학 국가대표의 공부 비법은?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풀이일까?’를 생각하고, 그런 풀이가 있다면 흡수하려고 노력해요. 내신 수학에서는 일단 기출문제를 열심히 풀어요. 대신 모든 문제를 끝까지 풀진 않아요. 그건 그냥 계산 연습이라고 생각해요. 오히려 여러 문제를 접해보며 ‘이런 방법으로 하면 풀리겠네?’처럼 문제 푸는 아이디어를 ... ...
- [수학공부] 수학의 재미를 찾으려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가장 좋은 답변은 ‘수학을 꼭 할 필요 없다’는 거예요. 수학의 매력을 온전히 느끼려면 일단 수학을 전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게 첫 번째 단계인 것 같아요. 시, 음악, 영화도 그렇고, 사람들이 하는 대부분의 다른 행위가 꼭 할 필요는 없지 않나요? 본질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행위인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단어를 넣으면, 내가 찾는 것뿐 아니라 관련된 콘텐츠도 추천받을 수 있어요. 그리고 일단 콘텐츠를 보기 시작하면, 그 다음에는 알고리즘을 통해 내가 관심을 가질만한 것을 추천받을 수 있답니다. 그래도 알고리즘에 맡기는 것 보다는 스스로 나에게 유익한 것을 찾아보는 것이 좋겠죠? 마지막으로 ... ...
- 작전명 : 블록을 맞춰 줄을 없애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아랫줄에 닿기 전까지 블록을 어디에, 어떤 모양으로 놓을지 정할 수 있어요. 블록이 일단 줄에 닿으면 모양을 바꿀 수 없지요. 블록은 시계 방향으로 90씩 회전할 수 있어서, 내가 채우고 싶은 빈틈에 맞게 돌리면 돼요. 위에서 내려오는 블록의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아요. 다음에 나올 블록이 ...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08호
- f(n) = n이에요. 단순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의미로 정말 좋은 함수예요. 일단 n에 독자 수를 대입하면 우리가 원하는 값을 얻을 수 있고, 식을 봤을 때 ‘이 식은 일대일대응이구나’, ‘우리는 독자 수만큼 책을 준비하면 되는구나’라고 문제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지요. 인문학자 : ... ...
-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도 진화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경찰대학 서준배 교수는 “피해를 막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단 모르는 전화는 그냥 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라고 했어요. 또, “특히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납치됐다는 등의 협박형 보이스피싱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데, 진짜 내 가족인지 아닌지 서로만 알 수 있는 ... ...
- "덕후가 쓴 책을 번역할 때 가장 신이 나요"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흔히 어린이 책은 내용이 쉬워 번역도 간단할 거라 생각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일단 영어를 한글로 번역하면 분량이 1.5배가량 늘어난다. 그림책은 지면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그런 문장을 최대한 압축해 분량을 맞춰야 한다. 또한 어린이 책은 사용하는 어휘나 문체가 성인책과는 딴판이다. ... ...
- [수학연구] 수학을 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8호
- 학문을 융합하는 사고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서로 다른 분야를 엮으려면 일단 각각의 분야를 어느 정도 이해해야 해요. 그리고 두 분야를 연결하는 데 적합한 언어를 만들어야 하지요. 그 분야를 자기 자신에게 설명할 때 사용하는 언어가 필요해요. 보통은 각각의 분야마다 필요한 언어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