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학교로 와달라’라는 요청이 쇄도했고,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로 자리를 옮겼다. 장 교수는 여전히 소수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리만 가설을 풀었다’라는 소문이 퍼지게 했던 그의 논문은 2022년 11월에 발표됐는데, 비록 리만 가설은 아니었지만, 소수의 패턴을 탐구한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제공했다. 알려진 소피 제르맹 소수 가운데 가장 큰 수는 2016년 2월에 발견한 무려 388342자리의2618163402417×21290000 - 1이다. 소피 제르맹 소수는 무한할 거로 추측되나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더 안전한 암호 만드는 데 유용 소피 제르맹 소수는 암호학과 관련이 있다. p와 2p + 1이 모두 소수이면 2p + 1을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대화 공유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수락하겠습니까?”“네에? 저 애가 미아라고요?”선이 자리에서 벌떡 일어났다. 미아의 명성이야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대면한 것은 처음이었다. 뉴로어스에 접속하지 않는 이상 다른 반에 학생을 드넓은 교육구 내에서 직접 만나보는 것은 쉽지 않았기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나라로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 이란, 사우디아라비아가 자리한 것을 보면 꼴찌나 다름없는 셈이죠. 평가 기준은 온실가스 감축량, 재생에너지 비율, 에너지 사용, 기후 정책입니다. 한국의 기후변화대응지수는 고작 29.98점입니다. 최고점을 받은 덴마크가 75.59점을 받은 것과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설명은 이렇다. 찻잔 속 차를 휘저으면 처음에는 구심력에 따라 유체가 찻잔 가장자리 쪽으로 흘러 찻잔 바닥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찻잔 바닥에 가까워질수록 유체의 흐름이 느려진다. 유체가 찻잔과 만나며 생기는 마찰력 때문이다. 느려진 유체의 흐름은 찻잔 가운데에서 다시 위로 향한다. 그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렇게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 믿어지던 창작 분야까지 AI가 파고들었다면, 인간이 설 자리는 없어질까요? 예술이란 그럴듯한 결과물을 만드는 것만이 아니에요. 우리가 마음으로 느끼고 생각한 것을 소통하는 것도 예술의 일부라고 할 수 있어요. 이러한 예술의 감상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중요한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큰지 감도 안 오는 이 숫자는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다. 무려 2486만 2048자리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읽는 데만 서너 달이 걸리며, A4 용지 한 장에 숫자가 4만 4000개 들어가도록 글자 크기를 작게 인쇄해도 무려 565쪽의 책이 나오는 숫자다. 소수니까 어떤 수학자가 찾았겠거니 ...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토대로 한 알고리듬을 짜서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스왁은 10억 자리의 수를 2개 더하는 데에 64탎(1탎는 100만분의 1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로빈슨이 찾은 수 중 가장 큰 수가 뤼카가 발견한 2127 - 1 보다 17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뤄진 회문 수 중에서 11이 아닌 수는 모두 11을 약수로 가지는 합성수다. 따라서 짝수 자리로 이뤄진 회문 수 중에서 11을 제외하면 회문 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진주목걸이 모양의 중심 십각 소수 1을 시작으로 10, 20, 30, … 등 10단위로 늘어나는 수, 즉 1, 11, 31, 61, 101, 151, 211, 281, 361,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도움으로 더 빠르고, 더 유능해진 4족보행 로봇이 공장, 소방현장 등에서 인간의 동료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이런 트렌드의 중심에 있다. 1월 8일, 세계에서 가장 빠른 4족보행 로봇을 만나러 눈길을 헤치며 도착한 곳은 다름 아닌 대전 KAIST였다. 박해원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