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세"(으)로 총 1,3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받아도 전위를 생성하지 않았다. 밀어도 원자들이 주변과의 결합을 끊지 않고 어긋난 자세로 계속 붙어 있었다. 원자 간 간격과 원자 간 결합력이 서로 다른 여러가지 원소를 절묘하게 배열한 결과였다. 초탄성 금속은 첨가하는 원소의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도 쉬워 제품화가 더욱 기대되는 ... ...
- [어수티콘 사전] 어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계산을 도와주는 ‘계산기’와 길이를 정확하게 잴 수 있게 해주는 ‘자’가 자신만만한 자세로 서 있네요. “어림없지!”라고 외치고 있어요. 수달에게 묻는다!정확하지 않아도 괜찮아! 어수동 : 계산기와 자가 왜 “어림없지!”라고 말하나요? 수달 : 계산기는 정확하게 숫자 계산을 하고, 자는 ... ...
- [그래프 뉴스] 타조처럼 빠르게! 두 발 로봇 100m 세계 신기록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덕분에 빠른 속도를 내려면 어떤 걸음걸이로 뛰어야 하는지, 달리기를 끝낼 때 어떤 자세로 멈춰야 넘어지지 않는지 스스로 판단했지요. 연구팀을 이끈 조나단 허스 오리건주립대 교수는 “캐시는 두 다리로 빠르게 달린 첫 번째 로봇이지만, 마지막 로봇이 되지는 않을 거예요.”라면서 “이번 ... ...
- [꿀꺽! 수학 한 입] 이건 몰랐어! 동화 속 이야기 1. 라푼젤은 목이 튼튼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라푼젤은 바른 자세를 잘 유지했던 것 같아요. 여러분도 지금 바로 목과 어깨를 펴고 자세를 바르게 하면 어떨까요? 용어 설명 평균★ 여러 개의 수가 있을 때, 이 수의 모임을 대표하는 값이에요 ... ...
- [꿀꺽! 수학 한 입] 인생샷 건져볼까? 윤서의 셀프 사진 비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어려워요. 반대로 카메라 렌즈로부터 멀어지면 상체가 많이 나오게 돼요. 표정이 자세히 보이지 않지만, 몸 동작을 보여줄 수 있고 여러 명이 한 컷에 담길 수도 있어요. 함께 찍는 사람이 4명 이상일 땐 카메라 렌즈에서 멀리 떨어져서 찍는 걸 추천해요. 눈 마주치고 하나, 둘, 셋, 찰칵! 카메라와의 ... ...
- [가상 인터뷰] 보이저 1호, 다시 정상 작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중이에요.그런데 지난 5월부터 보이저 1호는 지구 쪽으로 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하는 자세및접합부제어시스템(AACS)에 오류가 발생했어요. 다행히 8월 31일 NASA가 이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AACS에 정확히 어떤 오류가 있었나요?AACS는 탐사선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하늘에서 안전하게 떨어지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도롱뇽은 균형을 잡지 못하고 빙글빙글 돌며 떨어졌죠.연구팀은 떠돌이도롱뇽이 활공 자세를 취하면 추락속도가 최고 10% 줄어들었다고 밝혔습니다.나무에서 활공하는 다른 동물인 하늘다람쥐나 날개구리처럼 피막이나 물갈퀴는 없지만, 몸이 편평하고 다리와 발가락이 길어 더 많은 공기저항을 ... ...
- [논문탐독] 화석이 보여주는 탄생의 자세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사실이 점점 더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번 발견 또한 이와 비슷하게 조류 배아의 자세에서 보이는 특징이 사실은 굉장히 긴 역사를 가진 특징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진화라고 하면 항상 새로운 특징들이 등장하고 전에 없던 무언가가 나타나는 이미지를 떠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고생물학의 다양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말 그대로 깊은 바다를 뜻합니다. 대개 수심 200m보다 깊은 바다를 심해라 불러요. 더 자세하게는 빛이 들어오는 양에 따라 수심 200m까지를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빛이 들어오는 ‘유광층’, 200m~1000m 사이를 매우 미약한 빛이 있는 ‘박광층’, 그 이하를 빛이 전혀 없는 ‘무광층’으로 구분하기도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x축, 날개를 완전히 펼쳤을 때 날개의 방향을 y축, 중력 방향을 z축이라고 하면 새의 비행 자세, 즉 날개 모양은 y축과 관련한 회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줬어요. 또한 새가 날개를 퍼덕일 때 무게 중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중립점에만 영향을 크게 미쳤지요. 새는 안정성과 불안정성을 동시에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