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머지
잉여
잔류자기
자기
잔돈
d라이브러리
"
잔류
"(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유기화합물이나 중금속이 물이나 먹이를 통해 생물체내에 들어와 분해되지 않고
잔류
하는 현상이다. 미나마타병을 유발하는 수은과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하는 카드뮴이 대표적인 중금속이고 DDT(Dichloro Diphenyl Trichloroethane), 다이옥신이 대표적인 유기화합물이다. 벤젠 고리를 갖고 있는 화학물질은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유지되므로 거기에 비하면 300초는 ‘순간’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휘발성메모리의
잔류
시간이 100만분의 1초 수준인 데 비하면 단분자막에서 ‘비휘발성’의 가능성을 충분히 확인했다고 할 만하다. 이 연구결과는 권위 있는 화학저널인 ‘앙게반테 케미’ 10월 26일자에 실렸다.저널은 이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HCl)과 불산(HF) 용액에 반응시켜 석회성분과 규산성분을 모두 녹여 없애고 남은 유·무기
잔류
물을 지름 10㎛의 구멍이 송송 뚫린 체로 걸러낸다. 그 뒤 꽃가루 화석만 분리해 박편(현미경으로 보기 위해 얇게 만든 시료)을 제작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꽃가루 화석은 오늘날 살고 있는 식물의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눈빛은 연구를 향한 ‘열정’으로 가득 차 있었다.팝스 농도와 당뇨병 발생률체내
잔류
성 유기 오염물질(POPs) 수치가 낮으면(G1) 비만이더라도 당뇨에 거의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팝스 수치가 올라갈수록(G2~G5) 당뇨도 급증하는데 이런 경향은 비만일수록 심하다 ... ...
가장 ‘안전한’ 생활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뾰족한 침처럼 생겨 경도를 잴 수 있는 기구인 압입자(indenter)를 이용, 소재의 강도와
잔류
응력을 현장에서 비파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계장화 압입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응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2007년 대한금속·재료학회에서 ‘제1회 계장화 압입시험 및 미소강도 심포지엄’이 ... ...
재료역학신뢰성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보통 재료공학이라면 첫 번째를 많이 떠올릴 테지만 재료역학신뢰성공학은 강도,
잔류
응력, 인장한계 등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데 집중한다. 여기에는 재료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향상시키는 과정까지 포함된다. 또 새로운 측정 방법의 개발과 오차 보정 그리고 기존의 ... ...
구조물 안전 지키는 ‘족집게 명의’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만든 뾰족한 침인 ‘압입자’를 접촉시켜 교량이나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의 강도와
잔류
응력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물체를 부수지 않고도 부숴서 검사하는 효과를 얻는 게 핵심이다.현재 여건에서 계장화 압입기술을 쓰지 않고 강도를 알아내려면 구조물에서 떼어낸 재료를 가져와 양쪽으로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스며들지 않는 철판으로 만들었다. 훈증가스를 배기한 뒤에는 훈증실 내부에 가스가
잔류
하지 않아 유물을 안전하게 수장고로 옮길 수 있다.오 학예사는 문화재연구소의 요청에 따라 훈증실 제작 자문위원과 입찰 업체 기술 심사위원도 맡았다. 문화재 훈증소독과 관련된 노하우 전수에 나선 ... ...
내 머리의 화학반응, 파마 속 궁금증 셋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아는 상식이다. 하지만 그 이유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없다. 그저 파마약이 머리카락에
잔류
하면서 컬의 모양을 고정시켜 주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할 뿐이다.파마 뒤 머리를 감지 말라고 하는 이유는 머리카락에 남아 있는 알칼리성 물질 때문이다. 파마약(1제)에 들어 있는 알칼리성 물질(암모니아 ... ...
다이옥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먹이사슬을 거쳐 북극곰에서 검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다이옥신은
잔류
성유기오염물질(POPs)로 분류됐고, 2001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국제적으로 협력해 관리하기로 한 협약에 포함됐다.3 모유에서도 나온다?사람도 북극곰처럼 먹이사슬에서 최상위를 차지하기 때문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