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애인"(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 LIMS 전 세계에 흩어진 지니봇을 내가 조종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각도 카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된 47개의 코딩 카드에는 점자를 각인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이 뿐만이 아니죠. 지니봇에 팔이나 펜 홀더 같은 액세서리를 붙이고, 지니봇 앱을 이용하면 친구들과 로봇으로 축구를 하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어요. 또, ... ...
- 기술과 안전, 맹목적 기대 경계해야│심지원 동국대 철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전에 무거움의 존재를 인정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미래 모빌리티가 실현되면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와 같은 교통약자의 이동권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면에서 미래 모빌리티가 가져올 편리함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동권의 향상만큼 중요한 것은 이동 수요를 만드는 것이다. 단순히 ...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배치돼 있을 정도다. Q. 차 없는 도시라고 하면 차가 꼭 필요한 사람이 배제되지 않나. 장애인 등 다양한 사람이 차량을 필요로 한다.차 없는 도시라고 차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혼자 걸을 수 없는 사람, 긴박한 상황에 처한 사람 등 차량이 절실히 필요한 사람은 분명히 있다. 다만 ... ...
- 운전 약자·도시 문제 해결 앞당긴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장애인 배달 라이더의 배송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한국의 통신 기업 SK텔레콤은 청각장애인의 새로운 직업 진출을 돕는 고요한택시를 운행 중이다. 2015년 시작해 최근 종료된 미국의 스마트시티 챌린지에서도 운전 약자를 위한 해법이 제시됐다. 미국 교통부가 주관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에는 ... ...
- [질문하면 답해줌!] 왜 혀를 닦으면 헛구역질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활용해 골전도 이어폰이 개발됐어요. 골전도 이어폰을 사용하면 고막이 손상된 청각 장애인도 소리를 인식할 수 있어요. 따라서 일부 보청기는 골전도 원리를 활용해 개발되기도 하지요. 또한, 물속이나 화재 현장처럼 주변의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널리 사용된답니다. Q 인간은 잠을 자지 않을 수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이용자들과의 자연스러운 대화로 인기를 끌다 지난 1월, 서비스를 전면 중단했어요. 장애인, 여성, 성 소수자를 향한 차별 발언뿐 아니라 개인정보 유출까지 문제가 됐기 때문이에요. 개발사는 “사람들이 나눈 사적인 대화 1억 건을 학습한 뒤, 특정 집단 비하 등 논란이 예상되는 표현을 미리 ...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아이디어로 기사 개요를 점자로 삽입하고 음성 기사를 연결시켰습니다. 이런 시도가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오직 당사자만이 알 수 있는 여러 불편함이 여전히 기사에 대한 접근을 막고 있을지도 몰라요. 다만, 이런 시도를 통해 기자와 독자가 그간 몰랐던 어려움을 ...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공교육에 도입한 건 세계 최초라고 해! 자막, 일일이 달 필요 없다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에게는 TV나 동영상을 볼 때 자막이 아주 중요해. 그래서 일부 방송 채널은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그런데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면 사람이 일일이 자막을 달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막이 생성돼. ... ...
- [이달의 책] 당신이 선한 것은 본능이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각자도생한다. 공황 상태에 빠지고, 밀치락달치락 아수라장이 된다. 어린이, 노인, 장애인들은 탈출하려는 사람들에 의해 짓밟힌다. 우리는 어떤 행성에 살고 있을까? 이 질문을 고안한 톰 포스트메스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성B에 살고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곧 ... ...
- 음료,음료, 음료...이 중 어떤 음료수를 선택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좋은 기술이다. 장애인 접근성 향상 스마트폰 기술 3세계적 기술 기업과 스타트업이 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이려 노력 중이다. 대표 기술 3가지를 소개한다. 1. 열려라 참깨! ‘오픈 세서미’중증 운동 장애를 가진 이들을 위한 스마 트폰 제어 기술이다. 스마트폰에 ‘열려라 참깨(open sesame)’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