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집필
쓰기
제작
산출
생산
작문
d라이브러리
"
저작
"(으)로 총 2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법정] 왜 내 데이터로 기업만 돈을 버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형체가 없는 데이터는 법에서 소유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지 않고, 원본 데이터는
저작
권 보호도 쉽지 않지요. 따라서 데이터를 특정인의 소유라고 인정하긴 어려워요. 데이터가 만들어낸 이익을 나누는 것에 대해 가천대학교 법과대학 최경진 교수는 “보통 내가 만든 데이터가 기업의 이익으로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좋은 연구자가 되려면 연구자의 기본 소통 수단인 논문을 잘 써야 한다. 잘 쓴 논문은 다른 연구결과를 정확히 인용하고 데이터를 임의로 가공 ... 금지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이례적으로 APL 편집팀은 교신저자에게 비윤리적인 행위 및 국제
저작
권 위반을 이유로 사과문을 게재하도록 했다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주 각계 연구자의 글을 싣는 비영리 매체 ‘The Conversation’에 게시된 글로
저작
권 규정(CCL)에 따라 번역, 재게시했습니다. 남녀의 뇌 차이를 연구하기 시작한 건 19세기, 미국 의사인 사무엘 조지 모턴이 인간 두개골에 씨앗과 납으로 된 탄환을 부어 부피를 측정하면서부터다. 19세기 프랑스 의학자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명령을 내려야만 전투가 시작되는 것이다.참고로 식사를 할 경우, 입안에 들어온 밥알은
저작
운동을 통해 쪼개지고, 위와 장으로 내려간다. 소화관을 거치며 각종 효소의 작용으로 다당류인 녹말에서 단당류인 포도당의 형태로 잘게 부서진다. 외부에서 섭취한 영양분이 최소 단위로 부서지면 몸을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다만 지나치게 과장되거나 모호한 디자인은 문제가 될 수 있다. 또 학술지의 특성상 다른
저작
물을 모방하거나 재가공하는 것에 민감해 다른 작업보다 제약이 많다.간혹 비유나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기법은 그림을 친근하고 재치 있게 보이도록 하지만 자칫하면 정작 중요한 ... ...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유사한 경우는 물론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한 경우까지를 의미한다. 그 안에는 타인의
저작
물을 자신이 창작한 것처럼 속였다는 도덕적 비난도 강하게 내포돼 있다. 카피추의 개그는 패러디에 가깝다. 패러디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원작을 흉내 내거나 과장해 웃음을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 ...
[TECH] 새 애국가 담아낸 3D 음향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정수였다. 마이크 50여 개 사용해 애국가 3D 음향 녹음 2018년 12월 17일 한국
저작
권위원회는 23년 만에 새로운 애국가 음원을 선보였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이 녹음한 이 음원은 3D 음향기술을 사용해 주목을 받았다. 3D 음향기술은 녹음 환경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리를 있는 그대로 담아내고 재생하는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써야 한다는 거예요. 서울산업진흥원 미디어콘텐츠팀 신득수 책임님은 “다른 사람의
저작
권을 존중하는 것이 유튜브의 시작”이라고 강조했지요.이날 행사에 참여한 김도윤 기자는 “크리에이터들의 강연을 듣고 직접 채널을 만들어 보며, 유튜버들이 영상을 준비하기 위해 얼마나 정성을 쏟는지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나이별
저작
능력도 연구하고 있다. 나이에 따라 음식을 씹을 때 필요한 힘을 측정해
저작
능력에 따라 부드럽게 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다. 이 교수는 “다공성 구조는 치아의 힘을 고루 받는데다가 침과 섞이는 표면적이 넓어 소화가 잘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다공성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자신의 취향을 그대로 반영한 노래 한 곡이 나온다. 쥬크덱은 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저작
권에 저촉되지 않는 1970년대 이전 음악들을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켰다. 그리고 인간의 두뇌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축해 음악의 구조와 규칙을 알고리즘으로 번역했다. 옛날 노래를 학습한 탓에 쥬크덱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