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묶어 묶어! 아이스크림 운동회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5호
- 셋” 이런! 수를 세는 동안 아이스크림들이 하나둘 녹기 시작했어요!다 녹아버리기 전에 더 빠르게 수를 세어야 해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묶어 묶어! 아이스크림 운동회Part2. 팀별로 묶어 더해 볼까요Part3. 거듭 더하기Part4. 마지막 경기, 아이스크림 탑 ... ...
- [특집] 개코와 똑같다?! 복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핵을 제거한 다음, 빈 난자 속에 복제할 동물의 체세포의 핵을 넣습니다. 여기에 전기자극을 줘 수정란을 만들고, 수정란을 다른 암컷의 자궁에 착상●시켜 키워요. 이렇게 태어난 동물은 체세포를 제공한 동물과 DNA가 99.9% 일치합니다.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장구 교수는 “복제 동물은 원본 동물의 ... ...
- [메타버스 여행법] 스릴 만점 게임, 뭐가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는 로블록스 어드벤처 게임 중 이용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이에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가 즐기고 있습니다. 호텔에서 문을 열어 다음 방으로 넘어가는 게임이죠. 문을 열고 나가려면, 퍼즐로 미션을 해결해 열쇠를 찾고, 괴물로부터 살아남아야 해요. 이때 갑작스레 ... ...
- [과학 용어] 요소/태양풍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꼬리가 생기지요.태양풍이 너무 강하게 몰려오거나 지구 자기장이 약해지면 사람들에게 전파장애 등 피해를 주기도 해요. 특히 지구 궤도에 떠 있는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은 방사능에 노출되기 쉬워 위험합니다. 지난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올해 태양의 활동이 왕성할 것으로 예측해 태양풍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장장 8년간의 연구 끝에 한국형 수치예보 모형(The Korean Integrated Model, KIM)을 완성했다. 그전까지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영국에서 만든 UM(Unified Model)을 사용해 기상을 예측했다. 하지만 UM은 지구를 수직수평으로 나누는 위도경도 격자를 사용해서 지구 곳곳의 날씨를 균일하게 예측하기 어렵다. .. ...
- 부족한 백신, 누구부터 맞아야 할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릴 때 모두가 두 손 모아 백신을 기다렸다. 백신은 어떤 질병에 대해 몸이 방어할 수 있도록 면역 체계를 준비시키는 의약품을 말한다. 마침내 ... 이득이 크다. 하지만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갖고 다 같이 마스크를 쓰는 것이 전염병을 종식시키는 지름길이다 ...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 이 모형에서 전체 인구는 전염병에 걸리지 않은 취약군(S)과 전염병에 걸린 감염군(I)으로 나뉘며, 감염군(I)이 회복하면 다시 감염될 수 있는 취약군(S)으로 돌아간다. 이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집단에 속한 사람의 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미국 대통령 ... ...
- 영화, 드라마 흥행 예측하는 AI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배우가 유명할수록 제작사에서 그 배우를 더 찾기 때문이다. 배우의 성별에 따라서도 전성기에 차이가 있었다. 여자 배우는 데뷔 초기에 활동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지만, 남자 배우는 공백기 이후에 더 활발한 작품 활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경력이 1년 이상 된 경우, 상대적으로 경력이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있습니다. 반도체를 전공하는 연구실이 몇 개 없는 것도 한 예죠. 그래서 기술 이전 실적, 창업 실적, 특허 실적 등을 평가 기준에 비중 있게 반영해 다각도로 연구를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 이공계 청년과 청소년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린다정계 입문을 결심하기 전, 저의 목표는 제 회사를 ...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점이 특징입니다. 3단계의 과정만 거치면 모든 식물의 원하는 부위에서 빛이 나도록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어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밝기가 약하다는 게 단점이죠. 현재는 밝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식물에 제 연구를 적용하는 게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