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기"(으)로 총 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72년 6월 30일 1초가 늘어났다? 첫 윤초 도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이용해 더 정확한 시간의 기준을 만들었어요. 원자는 일정한 진동수로 진동하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는데, 세슘 원자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가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시간을 1초로 정의한 거예요. 이렇게 원자시계로 정한 시간은 매우 정확하지만, 지구가 돌면서 만들어지는 시간이 조금씩 ...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중성미자, 타우 중성미자는 전하를 띠지 않는다. 즉 중성미자는 강한 핵력뿐만 아니라 전자기력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우주에 가득하지만 유령처럼 찾기 힘든 입자약한 핵력은 대표적으로 핵을 이루는 중성자가 붕괴해 양성자와 전자, 중성미자를 내보낼 때 발견된다. 이때 나오는 전자를 ... ...
- [이달의 과학사] 1848년 6월 13일 사무엘 모스, 모스부호의 특허를 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32년 이탈리아 유학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오던 배에서 과학자 찰스 잭슨의 강연을 듣고 전자기학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이후 교수로 일하던 미국 뉴욕대학교의 동료인 레오나드 게일과 기계공 출신의 공장주인 알프레드 베일의 도움을 받아 1837년, 전신기와 전신기에 쓰이는 기호를 만들었습니다.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나는야 어과동의 귀염둥이 마녀 일리! 따뜻해진 날씨를 맞아 서핑을 하러 나왔지. 저기 달이 보이는군. 달의 힘을 받아 바닷물에 올라타 볼까? ... 전선에도 전류가 생기는 현상이에요. 교통카드와 인식기에도 코일 전선이 들어 있어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어나며 정보가 오간답니다 ... ...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네 가지 힘 중에서도 중력은 꽤나 특별합니다.이종필 건국대 상허교양대 교수는 “전자기력은 광자, 강한 핵력은 글루온, 약한 핵력은 W와 Z 보손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중력은 힘의 근원조차 밝히지 못한 상태” 라고 설명합니다.중력을 매개하는 입자에게 ‘중력자’라는 이름을 ... ...
-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더 큰 힘이 필요하다. 전하가 같은 핵자를 뭉치게 할 때도 마찬가지다. 양성자 사이의 전자기력을 극복하고 원자핵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핵자-핵자 상호작용’ 혹은 ‘잔류 강한 핵력’(본문에서는 간략하게 ‘핵력’으로 표현)이라고 한다. 지금껏 중성자 핵을 찾지 못한 이유현재까지 ...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진학은 다시 고려하는 게 좋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물리학Ⅱ’ 과목의 전자기장, 파동과 물질의 성질 등은 사실상 반도체에 관한 내용이다. 이런 수업을 들어본 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어떤 진로를 택하고 싶은지도 중요한 문제다. 전기·전자공학부에는 반도체뿐 ...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재료가 활용되기도 한다. 굴절망원경은 외부의 전자기파를 반사하는 반사망원경과 달리 전자기파를 굴절, 통과시켜야 하는 만큼 렌즈의 색상과 투과력, 균일도 등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많다. 렌즈의 크기를 키우는 것도 기술적으로 어려운 데다, 반사경보다 무게마저 무거워 대부분의 우주망원경은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우주의 모습 뒤에는 어떤 물질이 숨어 있을 거란 추측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빛(전자기파)을 이용해 관측할 수 없지만, 중력을 통해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표준모형 밖의 새로운 물질이다. 이것을 우리는 암흑물질이라 부른다. 암흑물질, 거기에 있어야 하기에 고안됐다 1933년 스위스의 ... ...
- [과학뉴스] 원인 불명 꿀벌 집단 실종 사태 발생과학동아 l2022년 04호
- Collapse Disorder)’이라고 부른다. 2006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미국 농무부(USDA)는 전자기파, 살충제 과다 사용 등을 가설로 세우고 CCD의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2017년에는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계열 살충제(아세타미프리드, 이미다클로프리드 등)가 꽃가루 매개자인 꿀벌에게 해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