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밖에 안되는 가벼운 질량이다. 흥미로운 것은 가벼운 질량에 비해 너무 크게 보인다는 점이다. 누베의 지름은 대략 4만 5000광년. 우리은하 지름의 3분의 1 수준에 맞먹는다. 질량이 우리은하의 1000 분의 1 정도 밖에 안되는 꼬꼬마 은하가 우리은하에 맞먹는 엄청난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변화로, 산화와 환원을 산소가 아닌 전자의 방출과 흡수로 설명하는 현대 화학의 관점을 감안한다면 플로지스톤 이론이 충분히 두 개념을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광택, 높은 전기 및 열전도성 등과 같은 금속의 공통 성질에 주목했던 플로지스톤 체계와 달리, 라부아지에게 중요한 문제는 ... ...
- 수학으로 엿보는 미래 사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집단의 행동은 개인의 행동 때문에 결정되지만, 개인의 선택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해 부의 불평등, 경제 상황 같은 변수에 주목했다. 그리고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후 1500년까지 약 3000년 동안의 역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로마 제국의 탄생과 쇠퇴, 프랑스의 시민 혁명 같은 사회 변화가 ...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수 있어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밝기가 약하다는 게 단점이죠. 현재는 밝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식물에 제 연구를 적용하는 게 목표입니다. 각 식물이 원래 갖고 있던 특성을 활용하면 기존에 본 적 없던 새로운 발광식물도 만들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데뷔했죠. 이후 현재까지 뉴미디어 아트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학점은행제로 남은 학사 과정을 마무리하고 아트&테크놀로지 대학원에 진학해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석사 학위를 받은 논문도 METI가 주제였죠. 무엇보다 한국에서 METI를 연구한 경험 자체가 큰 행운이라고 ...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카메라 총 3개의 장치가 대표적이지요. 세 장비는 각자 역할이 달라 서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합니다. 라이다는 사방으로 빛을 쏘아 장애물의 형태와 거리 등을 측정한 다음 정보를 통해 주변의 지형을 탐색하는데, 이를 ‘매핑’이라고 해요. 라이다는 주변을 자세하게 매핑할 수 있지만 비용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속한 절지동물이죠. 이름만 거미일 뿐 진짜 거미 는 아닌 거예요. 통거미는 거미와 어떤 점이 다를까 요?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 우주 밖에는 뭐가 있을까? (조회 수 : 5.8만 회)채널명 : 방구석 과학 (구독자 : 9.6만 명)우주 바깥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금으로부터 약 138억 년 전 일어난 빅뱅 ... ...
- 좋은 타구 나타내는 지표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x축, 타구 각도를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에 홈런과 뜬공 아웃, 땅볼 아웃, 직선타 아웃을 점으로 찍었다. 그런 뒤 홈런성 배럴 타구는 홈런 타구와 뜬공 아웃의 경계선을 이차함수로 나타내 정했다. 안타성 배럴 타구도 같은 방법으로 정했다 ...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때 세 방향에서 둘러싸는 것이다. 공을 잡은 선수 주위를 3명이 둘러싸면 각각이 꼭짓점이 되는 삼각형을 이룬다. 위의 경기장 그림과 같이 우리 팀 선수가 배치되면 상대 팀 선수가 공을 잡았을 때 주변에 있던 선수 3명이 삼각형 대형으로 압박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했듯이 우리 팀 선수 ... ...
- 배틀그라운드 탄도학으로 총 잘 쏘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조정이 관건 영점 조정할 때 기준 삼은 지점까지의 거리를 잘 기억해야 한다. 목표 지점이 이 거리보다 가까우면 조준한 것보다 위에 맞고(1), 멀면 아래에 맞기 때문이다(2). 기준 거리보다 가까우면 조금 아래, 멀면 위를 노려야 한다. 결국 상대방과 나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