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약 90만큼 꺾인 곳에 생길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 약 5000만 년 뒤에는 지금의 북극해 자리에 아메리카와 아시아 대륙이 합쳐진 초대륙이, 약 2억 년 뒤에는 거기에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까지 붙어버린 초대륙이 생길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이 초대륙을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 ...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알갱이는 뭘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풀며 우주에 대한 인류의 이해가 깊어졌다. 지금 우리는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이유가 중력에 있다는 것을 안다. 물질을 쪼개고 쪼개다 보면 원자란 작은 입자에 다다른다는 사실도 안다. 중력에 대한 이해는 인류가 지구를 떠나 달에 발자국을 남기도록 ... ...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게 아니야! 여기가 자연이었다면 그냥 도태됐을 것을!”선의 어깨가 움츠러들었다. 지금까지 ‘그냥 사람’으로 인식됐던 광장의 수많은 얼굴이 갑자기 무서운 포식자처럼 보였다. 한 마디, 한 마디 돌멩이처럼 던져지는 말에 혼미해지는 정신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을 때, 갑자기 누군가에게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있어. 원인과 결과, 앞과 뒤, 전후, 장유유서”“그게 왜요?” “네 차례가 아니라니까. 지금 지원이 줄어서 제로섬 게임이라고. 나보다도 훨씬 형인 사람들도 자기 연구하려고 아둥바둥거리고 있어. 단기간에 연구 결과를 못 내면 돈 한 푼도 못 받을 판이야.” “그게 중요해요?” 형이 침을 ... ...
-
- [에디터 노트] 특이점과 빅뱅과학동아 l2024년 04호
- 10명(작성일 기준) 중 5명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공통 질문을 던졌습니다. 왜, 하필 지금 정치를 하려느냐고. 표현은 달랐지만 후보자들은 모두 한국 과학의 특이점이 왔음을 강하게 느끼고 있었습니다. 기후위기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의 역전을 꿈꿀 수 있는 기회, ... ...
-
- [과학뉴스] 태양의 500조 배 역대 최대 밝기 등극한 퀘이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거대망원경(VLT)의 분광기로 추가 관측을 진행했다. 거리와 질량을 분석한 결과 J0529-4351이 지금까지 관찰된 퀘이사 중 가장 밝은 것으로 밝혀졌다. J0529-4351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170억 배에 달하며, 날마다 태양 1개 정도의 질량을 흡수한다. 이 과정에서 블랙홀의 강착 ... ...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표면의 71%를 차지하는 드넓은 바다에서 사는 바다생물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 해도 24만 종이 넘는다. 그 중 우리가 이름을 댈 수 있는 생물은 몇이나 될까? 신비로운 바다생물을 알리기 위해 직접 바닷속에 뛰어들어 사진을 찍는 사람이 있다. 그의 사진첩 일부를 공개한다. “바다생물은 생명의 ... ...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여전히 추정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 방정식은 외계 문명에 대한 확실한 지식이 없는 지금, 외계 생명체를 찾는 길잡이다. 앞으로 인류가 외계 생명체를 만나기 위해 어떤 것을 연구해야 할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외계 생명체를 찾을 수 있다는 희망도 보여주기 때문이다. 우주에 생명체가 얼마나 ...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저처럼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장학금 등으로 도움의 손을 뻗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더 큰 크기로 사회에 기여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제가 공학자로 살아가고 있음에도 사회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과학에 깊게 파고들수록 시야가 좁아질 수 ...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이라는 생각으로 썼기에, 책의 원래 제목은 ‘국어로 읽는 화학’이었다. 기자는 바뀐 지금의 제목에 ‘공부’란 단어가 들어간 이유가 궁금했다. 화학 ‘공부’는 어렵다는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여 교수는 “저도 고등학교 시절 화학보다는 물리를 좋아했다”며 “주기율표를 외우지 못해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