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리"(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 [기획] 어떻게 길을 찾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참새목의 소형 조류까지 사계절 다양한 종류의 철새가 발견됩니다. Q우리나라가 지리상 철새들에게 매우 중요한 곳이라고 들었어요.철새의 여행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장거리 이동을 하며 많은 철새가 죽을 정도지요. 날아가다 지쳐 바다에 떨어지기도 하고, 지친 상태로 목적지에 도착해 ...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한꺼번에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doi: 10.1080/00206814.2017.1340196지난해 12월 변종민 서울대 지리교육과 교수는 점진적 요곡운동의 증거로 여겨진 계단식 분지지형이 실은 기반암의 조성이 달라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평창강, 오대천, 송천, 골지천 등 한강 지류의 형태를 분석해 경동성 ...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안녕? 난 최고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도전하는 탐험가 문어야.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둥근 지구를 평평한 종이에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 고민해 왔어. 종이가 나오기 전부터 점토판, 양가죽으로 만든 양피지, 심지어 노랫말로 만든 지도가 전해져 왔지. 지도는 어떻게 만드냐고? 날 따라 와! ▼이어 ...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근세의 지도]16세기, 헤르하르뒤스 메르카토르의 북극 지도 : 최초로 만들어진 북극의 지리적인 지도. 북극을 4등분 된 하나의 대륙으로 표현하고, 가운데에 우뚝 솟은 검은 바위를 나타냈다. 18세기, 프랑스 카시니의 지도 : 눈으로 보고 만들었던 지도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최초로 위치, 면적 ...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가지며 기존 지도들보다 낮은 점수가 나온 거죠. ●인터뷰정재준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Q양면 세계지도를 어떻게 보셨나요? 이번에 발표된 양면 세계지도는 기존과 다른 아주 특별한 기술로 그려진 건 아니에요. 지구를 절반씩 나눠 그리는 반구도도 이미 과거부터 사용한 방법이라 ... ...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1916년 ‘충주발전지’, 1928년 ‘충청북도요람’ 등 과거 대부분의 지리서에는 충주를 흐르는 하천을 ‘한강’이라고 적고 있다. 반면 남한강으로 표기한 역사서도 있다. 1728년 음력 4월을 기록한 영조실록에 ‘남한(南漢)’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며 1866년 고종 3년 음력 9월 ‘비변사등록’에는 ...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곳곳에 분지 형태의 평탄면이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박수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남한강 본류 시작지점(분계선)에서 50km까지의 구간에서는 하상고도가 150m 정도 가파르게 하강한다.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중상류 지점에서는 해수면과 하상고도의 차이가 50m ...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인간의 영향이 적은 곳은 1%도 되지 않았다.연구에 참여한 얼 엘리스 미국 메릴랜드대 지리 및 환경시스템학부 교수는 “인간의 토지 이용으로 따뜻한 지역은 크게 위협을 받았지만, 그래도 아직 지구 절반 가까이가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남아있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doi: 10.1111/gcb.1510 ... ...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혼합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바초 키로의 후기 구석기 사람들은 동서 유라시아인 계통의 지리적 분포가 현재와는 사뭇 달랐고, 구석기 인류 집단들에서조차 장기간에 걸친 이주가 활발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더 좁은 의미의 ‘우리’, 이를테면 현대 한국인의 유전적 기원에 대한 연구 역시 이와 ... ...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재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고인류학계는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당시 지리학적 변화로 대퇴골 구조가 크게 바뀌지 않더라도 이족보행이 가능했다고 주장하는 고인류학자도 있고, 두개골과 대퇴골 화석이 육안상으로도 명확히 유인원에 가깝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밀포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