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만날 가능성이 있는지 계산하는 거죠. 예를 들어 5초 뒤에 자동차와 보행자가 특정 지점에서 만난다는 예측이 나오면, 스피커 등을 통해서 조심하라고 경고 알림을 줄 수 있죠. 보행 신호 연장 시스템도 있습니다. 노약자가 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다 건너지 못하면, 보행 신호를 길게 연장해주는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스트레스를 받아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미어캣이 두 지점을 세 번 이상 반복해서 왔다 갔다 하는 ‘페이싱’ 장면이나, 일본원숭이가 너무 심심한 나머지 과도하게 털을 뽑아 하얗게 살이 드러난 모습 등 정형행동이 담긴 영상을 함께 확인했어요. 우동수비대 4기의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설명하는 함수를 효용함수(Ui(xi , x-i))로, 각 개체별 효용함수의 최대점들이 모이는 지점을 내쉬균형으로 정의합니다. 내쉬균형을 계산할 수 있으면 원하는 사회적 현상을 이루기 위한 개별 행동규칙을 설계하는 역방향의 접근도 가능합니다. 이번 연구는 비상 항공기에 길을 터주는 ‘응급도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는 100년도 되지 않았죠. 최초의 적층성형은 1960년대에 두 개의 레이저가 교차되는 지점에 있는 소재를 3차원 형상의 제품으로 응고시키는 시도였습니다. 이후 1990년대까지 적층 소재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면서 2000년대 초부터 적층성형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렸습니다. 특히 의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바로 ‘무게중심’입니다. 무게중심은 물체의 전체 질량이 마치 한 점에 있는 듯한 지점이에요. 물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무게중심에 실을 매달면, 물체가 평평하게 균형을 이루죠. 맞물린 숟가락과 포크에 이쑤시개를 끼우면 이들은 마치 한 물체처럼 행동해요. 이들이 컵과 무게중심이 맞도록 ... ...
- [도전! M 체스마스터] 아무도 나를 막을 수 없어! 나이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팀, 상대 팀 모두 뛰어넘을 수 있지요. 단, 지나치는 곳에 있는 기물은 잡히지 않고, 도착 지점에 상대 기물이 있다면 잡을 수 있어요. 특이한 움직임으로 기습 공격하라! 나이트는 앞, 뒤, 왼쪽, 오른쪽 중 한 방향으로 한 칸 움직인 다음, 그 방향 의 대각선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한 칸 더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원리를 개발했다. 대기만성의 감동적인 스토리 이면에는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몇 가지 지점들이 있다. 이번 수상은 남들이 보기엔 비전이 없는 분야지만 꾸준히 연구를 수행해 여러 편의 논문을 쉬지 않고 발표하면서 RNA 분야의 선구자적 지위를 유지한 커리코 부사장의 인내심과, 이를 알아보고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대상으로 개선된 노선도의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노선도에서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안내한 뒤 길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환승역을 거쳐 목적지로 향하는 길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각각 측정했다. 아이트래킹(시선 추적) 기술을 이용해 시선이 머무는 곳도 살폈다. 서울시는 “기존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0.06광년으로, 천문학적으로 아주 좁은 영역이다. 이 좁은 영역에서 빛난다는 것은 이 지점이 독립된 별 하나임을 보여준다. 에렌델은 정말 별이었다!에렌델은 표면온도가 1만 3000~1만 6000K(절대온도)에 달하는 거대하고 푸른 B형 별로 보인다. 그런데 에렌델의 별빛 색깔, 스펙트럼을 더 세밀히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우주의 탄생을 설명하는 이론이라, 한 지점에서 터져서 폭발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의 각 지점이 서로 멀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죠. 과학동아 독자 여러분이 나누는 밀도 깊은 과학 이야기를 지켜보고 있자니 가슴이 두근거렸습니다.좋은 콘텐츠는 널리 퍼뜨려야겠죠. 앞으로도 과학동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