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가자"(으)로 총 8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IBS 기후물리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니테쉬 시나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원이 앞장섰다. 시나 연구원은 먼저 건물 옥상으로 참가자들을 이끌었다. 옥상에는 강수 수집장치가 설치돼 있었다. 한 달 동안 내린 빗물을 매달 모으는 장치다. 또 태풍이 오는 시기, 태풍으로 발생한 강수만 측정하는 수집장치도 있었다. 이후 건물 내의 ... ...
- 울퉁불퉁 지문에겐 다 계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실험 참가자의 손끝에 장치를 연결한 뒤 주기적으로 물리적인 자극을 가했습니다. 실험 참가자의 팔에는 신경을 감지할 수 있는 전극을 부착하고, 자극을 가하면 어떤 반응이 생기는지 살폈어요. 확인 결과, 손가락 면적 중에서 지문의 융선이 돋아난 부분이 자극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걸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2시간 30분 동안의 토론이 끝났습니다. 코로나19 이후로 오랜만에 열린 토론 행사라 참가자 대부분은 긴장한 모습이었지만, 즐겁게 참여했어요. 전민성 세과영 학생은 “그동안 챗GPT는 만능 기술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면서, “챗GPT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토론을 해보니 챗GPT가 양날의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증명하기도 했습니다. 연구팀은 다양한 구조와 밀도의 쿠키를 3D 프린터로 출력해 실험 참가자들에게 제공했고, 동일한 열량임에도 쿠키 밀도를 줄여 전체적인 크기를 키울수록 포만감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doi: 10.1145/3313831.3376421 3D 프린터는 동물세포가 근섬유와 지방으로 분화되는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다. 결과는 예상대로 한 쪽에 쏠렸다. 약 65%의 참가자가 ‘좋아요’ 수가 더 많은 질문의 정답을 확인했다. 서로 공명하는 우리의 호기심 이 실험의 의의는 ‘호기심이 전염되는가’라는 연구 주제에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인간 대상 호기심 연구는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걔가 환갑이고 내가 팔순 때 만났다, 이놈아. 내가 더 어려 보였어.”둘러앉은 참가자들이 웃음을 터트렸다. 이 말을 들으면 영감이 퍽 억울하겠지만, 저 안에 갇혀 버린 놈이 뭘 할 수 있겠는가. 더욱이 제니의 말은 거짓이 아니었다. 정말로, 제니는 저 영감이 자신보다 반백 살 어려져 젊음을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데 성공했습니다. 실험 참가자의 조건과 실험방법은 삭센다 임상시험과 동일합니다. 참가자의 규모만 다른데요, 이번엔 196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doi: 10.1056/NEJMoa2032183 위고비는 기존 비만치료제보다 체중감량 효과가 약 2배 좋은 데다가, 일주일에 한번만 주사를 맞으면 됩니다.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띠는지도 관찰했다. 결과는 놀랍게도 오답을 낸 참가자의 뇌 활성도가 정답을 맞춘 참가자보다 높았다. 자신의 답이 틀렸을 때 호기심이 더 커지고, 기억력은 강화된다는 뜻이다. 생존에 필요한 정보와 기술을 학습하고 충분히 발달시키기 위해 인간은 청소년기가 다른 동물들보다 상대적으로 길다. ... ...
- [가상 인터뷰] 어린이와 어른은 시간을 다르게 경험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것을 발견했지요. Q. 참가자들이 시간을 몸짓으로도 표현했다면서요?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팔을 벌려 체감하는 영상의 길이를 표현하도록 했어요. 확인 결과 9~10세 어린이와 어른의 대부분은 팔을 양옆으로 벌려 시간을 표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그런데 4~5세 어린이는 팔을 양옆이나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를 먹고 두드러기 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와 보스턴 아동병원 공동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15명의 스마트폰에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수치를 측정했어요. 그 결과, β-D 글루칸(BDG)과 내독소가 높은 수치로 발견됐어요. BDG는 곰팡이의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기도를 자극해 알레르기 증상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