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출발"(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적 생명체가 과연 우리 하나 뿐일까요. 이번 달 독자기고 주제는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선 과학을 좋아하는 편집부와 독자들이 매일 과학 이야기를 실컷 나누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를 소개하는 글도 자주 올라오죠. 10월 27일 이동화 님(닉네임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형제가 만든 동력 비행기는 전 세계 사람을 이어주는 출발점이 됐고,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만든 인쇄기는 유럽 사회의 지식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계기가 됩니다. 이러한 세상을 바꾼 발명품은 호기심과 불편을 해결하려는 노력에서부터 시작됐는데요. 제44회 전국 학생 과학 발명품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 접근은 연어나 철새와 같은 회귀 동물이 지구 자기장에 반응한다는 학설에서 출발한다.나노 자기유전학은 자기장으로 뉴런 내 전기신호를 활성화한다는 아이디어다. 나노미터 크기의 나노 나침반을 만들면 자기장에 의해 나침반이 회전하며 회전력을 만들어 내는데, 이 힘으로 뉴런 내 ... ...
-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목성을 향해 출발한 주스. 그런데 목성 궤도에 도착하려면 2031년이 되어야 한대요. 화성까지 8개월이 걸리는데, 왜 목성까지는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걸까요? 돌고 도는 긴 여정? 이유는 연료 절약! 2023년 4월 14일 발사된 주스는 지구 궤도에서 태양광 패널과 안테나를 펼친 뒤, 각종 장비를 ... ...
- [통합과학교과서] 빗자루만 타면 울렁울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줄이는 방법을 찾았으니 다시 빗자루를 탈 수 있을 것 같아요. 남쪽 마녀님, 이제 다시 출발할까요?”그런데 그때, 도로시의 위에서 꼬르륵 소리가 크게 울렸어요.“아하하, 계속 토했더니 배가 좀 고프네요.”얼굴이 빨개진 도로시를 보고 꿀록 탐정이 웃으며 말했어요.“우리 탐정사무소가 여기서 ... ...
- [전지적 독자 시점] “11월? 역시 노벨상의 달이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없으니 마음 한쪽이 쓸쓸하게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다음 호부터는 새롭게 출발하는 전독위 3기가 주요 기사 투표에 한 표를 행사할 예정입니다. 이 김에, 전독위 3기는 앞으로 세 달 간 어떤 일을 하게 될지 알아볼까요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번 연구는 산소-28이 새로운 존재 한계선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탄소부터 네온까지의 존재 한계선이 연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니까요. 산소-28에 희망을 품은 이유는 또 있었습니다. 바로 ‘마법 수’입니다. 마법 수란 안정적인 상태를 이룰 수 있는 양성자와 중성자의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대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개선된 노선도의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노선도에서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안내한 뒤 길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환승역을 거쳐 목적지로 향하는 길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각각 측정했다. 아이트래킹(시선 추적) 기술을 이용해 시선이 머무는 곳도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배달의 문어 출발~ 사탕을 집 앞까지 무사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놀이북 23쪽과 함께 보세요! 바다 사탕 공장은 간식을 배달하기도 해요.바쁜 문어들을 위해 여러분이 함께 배달을 도와주세요! 사탕을 나누어 담아라! 23쪽의 도안에 소금맛, 진흙맛, 전기맛 사탕이 준비되어 있어요. 아래의 배달 상자들에 세 종류의 사탕을 나누어 담아야 해요. 모든 상자에는 사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별을 보고 이야기해온 이 박사는 자신의 출발점과도 같은 ‘재미있는 별자리 여행’ 책의 개정판 작업을 하며 별은 모두의 기억에 남는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34년 전에 제 책이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그 기대에 부응해야한다는 마음이 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