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컬럼
칼람
기고란
column
기고
d라이브러리
"
칼럼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었다. 학교에서 강연 요청이 밀려 들어왔고, 방송 인터뷰와 신문
칼럼
집필, TV 출연 요청이 이어졌다. 요청에 일일이 응하면서도, 화성탐사를 통해 얻은 수많은 우주기술을 산업계에 이전하기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른바 ‘파급기술(Spin-Off Technology)’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부르기도 한다. 손으로 푸는 퍼즐은 직접 만져가며 푸는 퍼즐을 말하는데, 마틴 가드너가
칼럼
에 소개해 화제가 된 소마 큐브와 중국에서 시작된 칠교놀이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손을 써가며 푸는 퍼즐을 ‘기계적 퍼즐’이라고 부른다.기계적 퍼즐은 특성상 외형과 창의성이 퍼즐의 우수함을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있는 얘기였습니다. 증거가 있다면야 당연히 이야기가 달라지지요. 그래서 제가 지난
칼럼
에 “귀신 같은 건 없다”고 쓰는 대신 “귀신 같은 건 없다고 생각하는 게 합리적입니다”라고 쓴 겁니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증거가 이 정도로 없는 것으로 봐서 귀신이 있을 확률은 지극히 낮아 보이거든요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원숭이 화석까지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2001년 미국 뉴욕주립대 크리스토퍼 헤시와
칼럼
로스 교수팀이 원숭이 화석의 두개골을 분석해 눈의 구조를 재구성했습니다. 그 결과, 과거 영장류 조상이 야행성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영장류 조상은 3원색을 볼 수 없었다는 간접적인 증거지요.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운세 보기가 통계와 확률이라는 말이 종종 들립니다. 심지어는 어떤 언론사 논설위원이
칼럼
에 다음과 같이 쓴 것도 봤습니다.“사주는 통계학의 모태다. 컴퓨터가 동원되는 첨단 통계보다 표본자료가 방대하다. 수천 년 동안 바통을 이어온 인간들의 삶의 궤적을 데이터베이스화했다. 확률이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에 심리학
칼럼
을 연재하고 있다. 인간관계의 심리학을 다룬 책 를 썼다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불법 자동차 튜닝 때문인지 형을 살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그 사람이 김 교수가 쓴
칼럼
을 보고 자신감을 얻었다고 했다. 김 교수는 청소년들이 논문을 쓴다고 하면 무작정 시간을 내준다. 아이들한테 용기를 줘야 하기 때문이다. 한번의 기회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요즘은 열정적으로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귀를 기울이더라고요.”과학잡지에 글을 쓰기도 했다. ‘과학동아’에 아시모프
칼럼
을 번역해 싣는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글을 곧잘 써서인지 꽤 오랜 기간 맡게 됐다.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의 꿈은 독일로 유학 가서 더 진지해졌다. “독일에 있는 본대 화학과 대학원으로 유학을 갔는데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세포자동자의 일종으로, 1970년 미국의 수학자 존 콘웨이가 개발했다. 이를 미국의 과학
칼럼
가 마틴 가드너가 이라는 잡지에 소개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생명게임에서 한 개의 세포는 주변에 있는 8개의 세포에 의해 다음 단계의 상태가 결정된다. 1차원 세포자동자와 ... ...
성적, 잘 받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지금까지는 공부를 잘 안 했는데 어떤 계기로 인해 공부를 하기로 마음먹고 공신
칼럼
도 읽고 계획도 세워 공부했다. 하지만 공부도 안 되고 성적도 오르지 않았다’ 입니다. 그리고 문제점을 찾아 해결해주길 원합니다. 이런 학생들의 공통점은 그렇게 공부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