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턱
악골
아래턱뼈
d라이브러리
"
턱뼈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가설이 나왔다.미국 유타대 의대 데이비드 캐리어 교수팀은 지난 6월, 인류의 광대 뼈와
턱뼈
가 육탄전 시 ‘주먹질’에 대항하기 위해 발달했다는 연구 결 과를 ‘생물학 리뷰’에 발표했다. 이들은 덴마크에서 주먹다짐을 하 다 응급실을 찾은 환자 1156명의 상처 부위를 확인했다. 그 결과 앞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그런데 그 치아를 지탱하는
턱뼈
의 생김새는 후천적으로 결정된다. 작고 가냘픈
턱뼈
와 상관없이 나오는 치아는 콩나물 시루처럼 빼곡하게 들어서게 된다. 결국 삐뚤빼뚤하게 나올 수 밖에 없게 됐다. 이른바 덧니가 생기는 셈이다. 덧니는 특히 부드러운 음식을 오랜 동안 선호해 온 일본에서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여성보다는 남성이 생존을 위해 주먹을 사용하도록 진화해왔다”고 말했다. 즉 남성은
턱뼈
와 광대뼈를 단단하게 만들어 방패로 삼아야 유리했지만 여성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었던 셈이다.그간 생물학계에서는 인류가 견과류와 과일의 씨, 나무껍질 등 거친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강한 턱을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방에서 2000년과 2005년 각각 발굴한 180만 년 전의 인류 두개골과
턱뼈
화석의 생김새를 연구했다. 두 화석은 원래는 하나의 개체의 것으로, 둘을 합치면 거의 완벽한 머리뼈 화석이 된다. 지금까지 나온 친척 인류의 머리뼈 화석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아, 초기 인류의 머리와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혀를 이용해 물을 떠먹어야 한다. 포유류는 턱의 끝부분에 있는 깊은 틈을 경계로 입술과
턱뼈
가 완전히 분리돼 있다. 덕분에 안면 근육이 자리 잡을 수 있는 공간이 생겨 자유롭게 움직이는 게 가능해졌다. 일부 설치류는 입술이 어금니가 있는 곳까지 길게 늘어나 있어 먹이를 저장할 수 있는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만들었다.포유류는 씹는 능력을 키웠다. 잘게 자른 먹이는 소화를 더욱 쉽게 해준다.
턱뼈
는 작아지고 귀에 더 가까워졌다. 파충류의 아래턱이 직선이라면 포유류의 아래턱은 휘어 있다. 턱이 두개골에 상당 부분 융합되면서 포유류는 파충류처럼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게 됐다. 하지만 뱀처럼 자기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보이세이는 두뇌가 작은 대신(500cc) 이빨이 어마어마하게 컸습니다. 씹는 근육도 발달해
턱뼈
와 광대뼈도 엄청나게 컸습니다. 반면 육식을 주로 한 호모 에렉투스는 상대적으로 큰 두뇌(1000cc)를 가진 대신 이빨이 작고 씹는 근육 역시 작았습니다. 식습관과 두뇌 크기 사이에 놀라울 정도로 관련이 ... ...
범고래에게 송곳니만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BMP4,
턱뼈
뒤에 FGF8이 있었다. 돌고래 태아는
턱뼈
뒤에 FGF8이 있는 것은 동일했지만 BMP4가
턱뼈
전체에서 나타났다. 턱 전체에 분포하는 BMP4가 FGF8보다 우선적으로 작용해 뾰족한 이빨만을 만들게 한 셈이다. 게다가 유전자를 조작해 턱 전체에 BMP4가 있도록 만든 쥐 역시 어금니 없이 날카로운 이 ...
‘킹콩’이 살아 있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최근까지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계속 이빨뿐입니다.인류학자와 고생물학자는
턱뼈
와 이빨만 가지고도 많은 정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먼저 크기로 몸집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영장류 중에서 가장 몸집이 큰 종은 고릴라로, 수컷의 무게가 180kg, 암컷이 90kg 가량 나갑니다. 그런데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때문이다.뱀의 커다란 입은 제 몸 크기의 네 배가 넘는 먹이도 거뜬히 삼킨다. 머리뼈와
턱뼈
가 관절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유연한 근육과 인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단 먹이를 목구멍으로 넘기면 어깨뼈가 없기 때문에 먹이가 수월하게 소화기관으로 넘어간다. 그동안 척추에 연결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