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테"(으)로 총 1,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방정식일 뿐이고, 기하학에서는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1, 2, 3차원 안에 머물러 있었을 테니까요. 그렇지만 기하학적인 대상을 대수학적인 방정식으로 풀다 보니까 x2 + y2 + z2 + w2 = r2이라는 식으로부터 4차원의 구를 생각하게 됐어요. 그러니까 두 영역 모두의 무궁무진한 교집합이 생기게 된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만두겠다고 했나. 스승은 어째서 나를 붙잡는가.지아가 미운 적이야 당연히 있다. 이를테면 끝까지 나타나지 않는 그 애를 기다리다 해가 뜨는 걸 보며 기숙사로 돌아가 다시 훈련을 시작하던 때.그러나 지아가 날 부둥켜안은 그 순간, 내가 이 애를 진심으로 미워할 수 없으리란 사실을 깨달았다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똑똑하다고 내 일을 다 맡길 수 있나요? 우리가 잘 알아야 제대로 검증하고 지시를 내릴 테니까요. 마지막으로 토론에서 나오지 않은 챗GPT의 문제점을 더 생각해보세요. 지금껏 인류는 기술의 장점을 파악하고, 그 기술을 사용하되 기술의 단점을 어떻게든 보완하며 발전했습니다. 벌써 챗GPT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타고 화성에 착륙할 때는 죽는 줄 알았다. 웬 사기꾼에게 걸려서 화성 테라포밍 계획에 투자할 뻔한 적도 있다. 그래도 나의 화성살이는 꿈과 희망이 가득한 나날이 이어지고 있다. 방금 전에는 옆방 친구인 마크가 다음 달에 드론을 타고 극관 구경을 가지 않겠냐고 물어보고 갔다. 화성에서의 삶이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뇌 오가노이드가 복잡한 연산 처리를 해내려면 충분한 양의 신경회로가 필요할 테니, 지금의 뇌 오가노이드보다는 크게 키울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뇌 오가노이드로부터 신경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차세대 장비(하드웨어)와 신경 신호 해독을 위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소프트웨어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3 땅만 보지 말자 | 얻을 수 있는 자원도 살펴볼 것 실리를 중요하게 여기는 개척자라면, 테라포밍이라는 거창한 꿈을 좇기보다는 우선 현 상황에서 가치가 높은 땅을 찾는 것도 좋겠다. 화성 개척자들에게 가장 귀한 자원은 물이다. 우주선의 연료를 얻기 위해서도(1파트 참고), 식수를 얻기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네가 나처럼 늙었을 때 너처럼 젊고 어린 아가한테 해주면 된다. 너보다 훨씬 어린아이한테, 네 세상은 그랬다고 말해주면 된다.”선재가 고개를 숙였다. 짜증난다고 중얼거렸지만 본심은 그래 보이지 않았다. 다행이었다. 아직 선재가 짜증이 무엇인지 알아서.“내가 저기서 임무를 수행하고 ... ...
- 네, 그래서 이과가 엘리베이터에서 살아남아 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떨어지는 엘리베이터에서 점프하면 엘리베이터가 바닥에 부딪히는 순간 공중에 떠 있을 테니 충돌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것 같습니다. 그게 아니더라도 다른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요. 네, 그래서 이과가 떨어지는 엘리베이터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1단 약속 ⏐ 점프할 생각일랑 고이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보이지 않게 되었을 때야 수잔의 질문에 대답했다.“그래야 인간은 계속 나아갈 테니까.”핍은 심호흡을 하고서는 머리를 두어 번 쳤다. AI는 평생 알지 못할 영역을 발견한 것만 같았다. 핍은 소리가 나게 안전벨트를 맸다. 수잔과 함께 또 어떤 스팸 문자를 찾으러 갈까 싶었다. 핍의 심장이 다시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커진다 안에 뭐가 들었는지 알 수 없는 검은 상자가 있다고 하자. 누군가가 1억 원을 줄 테니 그 안에 손을 넣어보라고 한다. 이 말을 듣고 손을 넣는 행위가 호기심일까, 아닐까. 적어도 학계에선 이를 무조건 호기심에 의한 행동으로 보진 않는다. 1억 원을 준다는 말을 듣지 않고도 상자 안의 물체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