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일"(으)로 총 7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문화 산업 지키는 파수꾼, 디지털 보안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최근에는 파일의 불법 유포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은 물론, 누가 어떤 경로로 불법 파일을 유통하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포렌식 워터마크’ 기술이 도입되는 추세다.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대신, 유통 과정에서 구매자의 정보를 담은 워터마크를 실시간으로 ... ...
- 업스케일링, 필름복원, 디지털화...마스터피스 되살린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가능할 수준으로 손상된 부분을 고친 후에는 스캐너를 이용해 영상과 음성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한다. 이후에는 편집이 진행되는데, 영화 촬영 후 진행되는 일반적인 편집과는 개념이 다르다. 필름을 스캔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거나 순서가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 간단하게 수정을 하는 ... ...
-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당신에게 고향의 추억을 바칩니다...윤인순 할머니의 오르골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긱블의 배려가 엿보이는 부분입니다. 오르골 변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고향의 봄 음원 파일을 오르골용 악보 도안으로 전환했습니다. 찬스 님이 이 도안에 따라 플라스틱판에 구멍을 하나하나 뚫었죠. 악보는 양 끝을 붙여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그래도 영원히 음악을 끄지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피카프로젝트는 마리킴의 디지털 작품 ‘’를 6억 원에 판매했어요. 디지털 파일이 이처럼 고가에 팔린 배경에는 ‘NFT(대체 불가능 토큰)’가 있어요. ‘NFT’는 디지털 환경에서 소유주를 증명하는 증서의 역할을 해요. NFT 미술품은 복제하더라도 원본에 대한 정보가 ‘블록체인’이라는 디지털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들어갔다. 키보드에 입력한 글자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타입1폰트, 트루타입 등 다양한 파일 형식이 개발됐다. 특히 미국의 기업 마이크로소프트와 어도비가 함께 출시한 오픈타입 형식은 기본 라틴 문자 외에도 분수, 고대 문자까지 지원하며 최대 6만 5000여 요소의 자형을 가질 수 있다.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바랍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글꼴을 저작물로 인정하지 않고 대신 글꼴을 디지털화한 파일을 저작물로 인정하고 있다. “태-영화체가 영화계의 한 요소로 자리잡으면서 흡사한 서체가 많이 나왔어요. 이 분야를 굉장히 사랑했지만, 의욕을 잃는 순간이었죠. 글꼴 디자인의 창작성이 인정받지 ... ...
- [논문탐독] 이미지와 자연어를 연결 짓는 새로운 딥러닝의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따라 값을 행과 열에 입력하는 데이터입니다. 쉽게 말해 엑셀 프로그램에서 쓰이는 파일들이죠. 비정형 데이터는 정해진 규칙이 없어 값의 의미를 파악하기 힘든 데이터입니다. 이미지와 자연어가 대표적입니다. 예를 들어 강아지라는 이미지를 컴퓨터가 인식하기 위해서는 각 픽셀 값을 빨간색, ... ...
- 이불킥 하신 분 어서오세요, 기억 지워드립니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인출시키는 순간 ‘말랑해져’ 변형이 가능해지는 특성이 있다. 이는 마치 본래 의 음악 파일을 재생시키는 동안 녹음 기능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과 같다. 만일 조용한 방에서 음악이 재생된다면 원곡은 크게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남겠지만, 다른 음악이 흐르거나 잡담으로 가득한 방이라면 원래 ... ...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5000일’이 약 785억 원에 낙찰돼 관심이 커졌다. NFT 작품은 그림, 영상, 노래 등을 디지털 파일에 블록체인 기술로 만든 토큰을 달아놓은 것이다. 한국 사람 모두가 고유의 주민등록번호를 갖고 있듯이, 고유한 물건 하나에 고유의 꼬리표를 달아놓는 일종의 원본 인증서인 셈이다. 올해 3월부터 20여 ...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녹음과 파일에서 잘못 바뀐 것은 없는지 확인해요. 그 뒤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파일로 저장하지요.이 과정을 모두 거쳐 정리된 사투리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운영하는 ‘AI Hub’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쓸 수 있도록 공개될 예정이에요. 덕분에 지역과 연령에 상관없이 AI 서비스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