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별의 쏟아지는 은하의 중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먼저 막대 구조의 길이다. 물론 은하가 클수록 막대도 크기 때문에, 은하 자체의 크기를 표준화한 후에 동등한 상태에서 비교해야한다. 그래서 은하 원반의 자체 크기에 비해 중심 막대 길이가 얼마나 긴지 그 상대적 비율을 수치로 사용한다. 또 다른 기준은 기다란 타원형의 막대 구조가 얼마나 ... ...
-
- 과학이 진실을 밝히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입력하면 동일인인지 확률값으로 알 수 있다. CASE 03. DNA 분석 현재 전 세계 DNA 감식의 표준은 ‘STR(Short Tandem Repeat) 분석’이다. DNA에는 2~7개의 염기서열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STR이라고 한다. 방대한 정보를 가진 DNA를 한꺼번에 분석하긴 어렵기 때문에 짧은 염기서열의 반복 . ...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도달한 순간의 적색거성을 ‘TRGB(Tip of the Red Giant Branch)’라고 한다. 천문학자들은 TRGB를 표준 잣대로 암흑물질이 없어도 너무 없는 수상한 왜소은하들까지의 거리를 쟀다. 둘은 지구의 하늘에선 거의 같은 방향에서 보이나 실제 거리는 많이 달랐다. 둘 중 DF4가 지구에서 더 가깝고, 둘 사이의 거리는 ... ...
-
- [논문탐독]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지평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무엇일까요? 표준국어대사전은 시뮬레이션을 ‘복잡한 문제나 사회 현상 따위를 해석하기 위해 실제와 비슷한 모형을 만들어 모의적으로 실험해 그 특성을 파악하는 일’로 정의합니다. 전쟁터의 병력을 나무 모형으로 바꿔 지도 위에서 설명하거나, 비행기의 공기 저항을 계산하기 위해 비행기 ...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뿌듯함도 있었다. 양자통신이라는 낯선 분야에 뛰어들다 하지만 입사 2년 차가 되고 표준화 업무에도 웬만큼 익숙해진 어느 날 문득 ‘이게 맞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이 이게 맞나, 정말 재밌어했던 연구가 이게 맞나. 난 물리학을 좋아했고 이 모든 것의 출발점에는 ...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했습니다. 유전적, 환경적 요인 모두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2022년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에 따르면 지난 40여 년간 한국인 평균 키가 남성은 6.4cm, 여성은 5.3cm 커졌죠. 비셰르 교수의 의견도 박 교수와 같았습니다. 2021년 그는 팩트체크 사이트 ...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미국인 6850만 명의 체질량 지수, 흡연 여부, 인종, 소득, 교육과 같은 외부 요인을 모두 표준화한 뒤, 살고 있는 지역과 그 지역에서 수집된 대기 오염 데이터를 함께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가낮아지면 사망 위험이 약 6~7%가량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미국의 초미세먼지 기준을 ... ...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문제는 사람마다 이 길이가 다 달랐지요. 근대에 와서 무게 1g, 길이 1cm, 온도 0℃ 같은 표준 단위가 정의됐어요. 수학자 : 도구나 각자만의 기준을 사용해서 눈앞에 있는 물체를 재왔네요. 그러면 언제부터 일반적인 도량이나 측정 말고, 학문으로서 기하학을 하기 시작했나요? 인문학자 : 기하학의 ... ...
-
- [이그노벨상] 벌에 어느 부위를 쏘이면 가장 아플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같았다. 일단 만들어지고 나자, 통증지수는 곤충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으로 자리매김했다. 연구자들은 통증지수에 따라 곤충의 생활 방식을 예측할 수도 있었고, 반대로 곤충의 외양이나 행동에서 통증지수를 예측할 수도 있었다. 예를 들어 눈에 띄는 화려한 빨간색과 ... ...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땅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생명공학 연구자들이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에 모여 있습니다. 1978년 3월, 한국표준연구소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중 최초로 대덕연구단지(현 대덕특구)에 입주한 이후 오늘날 대덕에는 총 26개의 출연연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또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