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푸른색"(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광합성을 하기 위해 푸른색 계열의 가시광선(400~500nm)을 흡수합니다. 즉, 해양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을 흡수하는 비율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북극 온난화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을 왕성하게 하고, 햇빛의 흡수 비율을 높여 해빙이 녹는 현상을 가속화시킵니다. 우리 연구팀은 결국 해빙이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오로라 추적자들’은 밤하늘에서 보랏빛의 띠를 발견했어요. 보통 오로라는 녹색과 푸른색, 빨간색의 커튼이 하늘에 펼쳐진 것처럼 나타나요. 그래서 이들은 보랏빛 띠가 보통의 오로라와는 다르다고 생각하고 ‘스티브(STEVE)’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은 NASA의 과학자들과 힘을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투명한 푸른색 바다. 그 바다와 함께 펼쳐진 모래 알갱이에 햇빛이 반사돼 반짝인다. 말 그대로 백사장. 어떠한 것에도 오염되지 않고 깨끗하게만 보인다. 하지만 모래 속에는 우리눈에는 보이지 않는 ‘불청객’들이 우리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있다. 우리 몸을 노리면서. 1. 피부사상균 | 피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다양한 음식과 물건을 살펴보자. 식초, 레몬, 키위, 사과, 탄산음료 등은 신맛이 나며,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게 만든다. 또 마그네슘과 같이 반응성이 큰 금속을 만나면 수소 기체를, 달걀 껍데기의 주성분인 탄산칼슘과 만나면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킨다.이런 성질을 산성이라고 하며, ... ...
- [Culture] 물 분자와 기름의 자리 교체 ‘치느님’ 프라이드 치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높은 옥수수유나 해바라기씨유, 카놀라유입니다. 기름이 발연점에 도달하면 매캐한 푸른색의 연기가 나면서 독성물질(아크롤레인)이 발생합니다. 발연점은 기름마다 다릅니다. 옥수수유는 약 270도, 해바라기씨유는 약 250도, 카놀라유는 약 250도, 포도씨유는 약 220도, 대두유는 약 210도,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눈도 반사율이 70%에 달한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같은 외적인 요인에 의해 눈이나 얼음이 푸른색을 띠는 물로 변하면 반사율이 약 10%로 급감한다.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의 90%를 흡수한다는 뜻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현상이 ‘양의 되먹임’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더 많이 흡수된 태양에너지는 ... ...
- [쇼킹 사이언스] 폭발하는 화산에서 푸른 빛이 번쩍! 화산번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화산이 뿜어내는 붉은 용암 사이로 푸른색 번개가 치고 있어요. 화산이 폭발하는 모습 자체로도 웅장한 느낌이 드는데, 여기에 번개까지 함께 치니 더욱 신비하게 느껴져요. 그리스 신화 속 제우스가 금방이라도 하늘에서 내려올 것처럼 보이지 않나요? 이처럼 화산 폭발과 함께 번개가 치는 현상을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복잡하게 달라집니다. 검은색을 내는 유멜라닌이 적게 만들어지면 개의 털이 갈색, 회색, 푸른색, 엷은 갈색 등으로 미묘하게 바뀌죠. 수채화를 그릴 때 먹에 물을 섞어 색을 표현하듯, 유전학에서도 이런 현상을 ‘희석(dilution)’이라고 표현합니다. 페오멜라닌 색소는 주황색, 황금색, 황색,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보물을 향해 어둠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과학수사대가 옷에 뿌린 약품은 ‘루미놀’이라는 물질이에요. 루미놀은 피와 만나면 푸른색으로 빛이 나지요. 루미놀이 빛을 내는 건 피 속에 있는 철 원자 때문이에요. 루미놀과 철 원자가 만나면 야광봉과 같은 원리로 화학반응이 일어나며 빛이 방출되거든요. 이때 자외선 빛을 쪼이면 ... ...
- [쇼킹 사이언스]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푸른 용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넘는 고온에서 타오르며 푸른 빛을 내요. 즉, 카와이젠 화산의 푸른 용암은 용암 자체가 푸른색이 아니라, 많은 양의 유황기체가 화산의 뜨거운 열기와 만나 타오르면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푸른 불꽃은 태양 아래에서보다 밤에 더 잘 보이는데, 최고 5m까지 치솟으며 장관을 연출한답니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