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게 말이 될까요? 언뜻 보면 그럴싸하게 들리는 과학 밈●들을 성균관대학교 물리
학과
김범준 교수가 친절히 설명해 드립니다. 깽깽이발로 뛰고, 네발로 기어가고정신없는 100m 경주가 벌어지고 있어요. 인공지능 선수들은 바닥에 넘어지면 벌을 받고, 경로를 따라 잘 진행하면 보상을 받습니다.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Intelligence)’입니다. 최초의 SETI 프로젝트는 프랭크 드레이크 당시 미국 코넬대 천문
학과
교수의 ‘오즈마 프로젝트’로 1960년에 시행됐죠. 드레이크 교수는 약 4개월 동안 외계 지성체가 생성한 전파를 탐지하고자 했습니다. 의미있는 신호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연구는 이어졌습니다. 1961년에는 미국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여대(현 채텀대)에서 생물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다. 이후에는 존스홉킨스대에서 동물
학과
유전학을 공부했으며, 1932년 여름 해양생물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로도 학업을 이어가려 했으나 대공황의 여파 가운데 가족 부양을 이유로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카슨은 미국 수산국에 취직해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느낌도 나고 발음도 편해요. Q. SF 작가가 되려고 결심한 계기가 있나요? 대학교 국문
학과
를 졸업하고 1년 반 정도 논술 강사로 일했어요. 학원의 원장이 바뀌면서 학원을 그만두고 여러 군데를 전전했지요. 그러다가 우연히 박물관 큐레이터로 전향했어요. 박물관에서 키네틱 아트 전시 해설을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유지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카를로스 프렝크 영국 더럼대 물리
학과
교수는 “초은하 평면에 은하가 (불균일하게) 분포한 양상은 분명 놀랍다”면서 “그러나 그것은 규칙에서 어긋난 사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연구 결과는 우주론의 표준모형이 우주에서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모델링으로 만든 ‘사전’이 더 완벽해지기 때문이다. 박진영 성균관대 인공지능융합
학과
교수는 “앞으로의 생성 AI는 기존의 AI와 비교해 규모와 문제 해결능력이 월등하게 뛰어난 ‘초거대 AI’로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9년 구글이 발표한 T5는 110억 개 정도의 파라미터를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오랜 쟁점에서 정부는 어떤 역할을 맡아야 할까. 경제학자인 홍종호 서울대 환경계획
학과
교수에게 물었다. 그는 “경제학자의 눈으로 봤을 때, 아무런 규제 없이 (폐기물을 감축한다는) 바람직한 사회적 비용이 반영된 소비 형태가 나타나리라고 생각지 않는다”고 답했다. 생산과정과 소비과정 ... ...
[가상인터뷰] 계절별미 ‘흰개미’ 즐기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맛있어서 하는건지요. 그런데 최근에 세스 필립스 미국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인류
학과
교수팀이 우리가 왜 낚시를 하는지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건기와 우기가 명확한 탄자니아의 이사 계곡에서 우리를 연구했어요. 연도별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13개의 흰개미 둔덕에 설치한 트랩 카메라로 ... ...
아프리카 펭귄에게 ‘점’이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박힌 ‘점’에 있었다. 루이지 바치아돈나 이탈리아 토리노대 생명과학시스템생물
학과
연구원팀은 2023년 11월 10일 동물 행동학 저널 ‘애니멀 비헤이비어’에 아프리카 펭귄은 가슴의 검은 점 패턴으로 무리 속에서 짝을 알아본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doi: 10.1016/j.anbehav.2023.10.005 그동안 새의 사회적 ... ...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음식을 만드는 모든 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살아 있는 수학이다. 실제로 대학교 조리
학과
에서는 예비 요리사들에게 ‘조리 수학’ 과목을 가르친다. 특히 부피와 무게, 온도 단위를 전환하는 계산을 아주 중요하게 알려준다. 나라마다 요리법에 사용하는 단위가 달라서, 이를 국제 표준 단위계(SI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