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d라이브러리
"
해양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목이 긴 타니스트로페우스의 약점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포식자의 표적이 될 위험에도 불구하고 긴 목은 1억 7500만 년에 이르는 긴 시간에 걸쳐
해양
파충류에서 계속 발견된 특징이에요. 스테판 스피크만 박사는 “긴 목이 포식자의 표적이 될 위험보다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로봇의 그리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공벌레와
해양
연체 동물인 군부에 주목했어요. 공벌레는 몸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물체를 가둡니다. 군부는 발로 물체를 강하게 붙잡는 특징이 있죠. 연구팀은 로봇의 팔 끝에 동물들이 앉을 수 있는 자리를 3D 프린터로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바 있습니다. 지난 6월 20일, 미국지질조사국은 통가 해저 화산 폭발 당시 미국 국립
해양
대기청(NOAA)에서 운영하는 정지궤도위성 고스(GOES)-17의 데이터를 분석한 새로운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위성에 탑재된 번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해 통가 화산이 분출할 때 반경 약 140km 내에서 19만 2000번의 ... ...
대만 지질탐험대 여행 미리보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공원대만의 그랜드캐니언이라 불리는 타이베이 남동쪽에 위치한 타이루거 공원. 필리핀
해양
판이 유라시아 대륙판과 충돌하며 대만을 형성했고, 천천히 융기한 산맥의 지표암이 풍화와 침식을 거쳐 표면에 대리석으로 드러났어요. 이 대리석 암반은 리우 강에 의해 침식되고, 계속 융기되면서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한국 고유종인 미유기의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어. 경기도
해양
수산자원연구소가 인공적으로 미유기를 번식해 강에 방류하는 사업이 대표적인 사례지. 이를 위해서는 미유기의 산란에 관한 지식이 필요한데, 그간 미유기가 어떤 조건에서 알을 잘 부화시키는지에 관해서 ... ...
[기획] 해저 5000m 아래 보물찾기, 바다생물은 안전할까? 심해 채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안녕? 나는 태평양 수심 4000m 아래 사는 ‘캐스퍼 문어’라고 해. 유령처럼 투명한 몸으로 깊은 바다의 바닥을 기어다니지. 그런데 최근 고요하던 심해를 소란스럽게 하는 방문객들이 많아졌어.거대한 기계들이 바닥에 놓인 돌을 가져가는데?누가 그 이유를 좀 설명해줄래?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심해의 돌 속엔 배터리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있어요. 한국
해양
과학기술원 형기성 연구원은 “중금속이 해수에 녹아들면 평상시
해양
환경에서는 극히 낮던 중금속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오염수 방류 시작8월 24일,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에 쌓여 있던 오염수가 최초로
해양
에 방류됐다.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가 오염수를 희석해 바다에 버리겠다는 도쿄전력의 계획을 승인한 데 따른 결과였다. 이후 10월 5일에는 2차 방류, 11월 2일에는 3차 방류가 이뤄졌다. 후쿠시마 제1 ... ...
전 세계는 보물 찾아 삼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두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채굴 과정에서
해양
환경을 오염시킬 수도 있고요. 한국
해양
과학기술원 형기성 연구원은 “국제해저기구(ISA)는 이미 상업적 채굴을 규제하기 위한 초안을 마련해둔 상태”라며 “채굴 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아 상업적 채굴 행위는 국제 사회의 동의를 얻지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중금속 농도에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했지요. 저희 연구의 목표는
해양
생물이 견딜 수 있는 중금속 농도를 파악해 허용 기준치를 세우는 겁니다. 기준이 마련된다면, 생물에게 미치는 피해가 덜하도록 선상에서 기준 농도 이하로 희석시킨 후에 바다로 버릴 수 있지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