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낭비
사치
d라이브러리
"
허비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그 연구노트는 영영 되찾지 못했고, 그 과학자는 똑같은 연구를 되풀이하느라 몇달을
허비
해야만 했다.세속적으로도 성공한 과학자가이슨 박사는 파스퇴르가 실험가이자 이론가로서 뛰어난 자질을 갖고 있었으며 그의 공적이 경시되어서는 안된다고 결론지었다.파스퇴르는 또한 언변이 뛰어나고 ... ...
3. 사용자가 꼭 지켜야할 10가지 '네티켓'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동의를 구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또다시 올린다면 같은 내용의 글을 보기 위해 시간을
허비
하게 만드는 행위가 된다. 이러한 모든 것이 상대방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행위다. 사람들은 누구나 이 세상에서 자신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신 이외의 모든 사람이 이 생각에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아니라 미셸 베소라는 증거가 있다.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의 불변성 문제로 거의 1년을
허비
하다가 베소와의 대화에서 갑자기 그 문제의 핵심을 깨달았다고 말한 적이 있다. 베소는 아인슈타인과 함께 브라운 운동에 대해 토론했으며 에른스트 마흐의 이론을 연구하도록 권고하기도 했다. 또한 ... ...
1 첨단시설 연구소 버리고 내키지 않는 대학 발걸음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보장되기 때문이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학위와 포스트닥을 마친 고급인력들이 시간을
허비
하면서까지 교수자리를 기다리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정부출연구소에 자리가 많은 것은 아니다. 정부출연연구소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력 충원을 극도로 ... ...
신호 생성기술 응용, 누수 근원 찾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입힌다. 외국의 경우 전체 생산된 수돗물중 25%가 누수로 인해 시민들에게 도달되기 전에
허비
되고 있다는 통계도 나와 있다. 그렇다면 이런 누수현상을 정확히 알아내는 방법은 없을까.근착 뉴사이언티스트지에 의하면 애초 유럽 우주기구(ESA)가 위성 통신을 위해 고안, 발전시킨 신호생성기술(signal ... ...
고등 동물일수록 뇌의 휴식이 필요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연장돼 70~80년을 산다고 하면 25년 가까이 잠을 자는 셈이다. 아까운 인생의 1/3을 잠으로
허비
하는 것이다. 왜 인간은 25년씩 잠을 자지 않으면 안될까. 또한 사람이외의 동물은 어떤 방식으로 잠을 자는 것일까. 다음은 '과학아사히' 최근호에 실린 수면에 관련된 기사를 요약발췌한 것이다.수면의 ... ...
황금을 만드는 세균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사람도 간혹 있다.과거 우리나라에서도 사금을 채취하다가 금광을 발견한다고 일생을
허비
한 사람이 간혹 있다. 자연금이 함유돼 있는 모암이 풍화작용으로 패쇄돼 금의 작은 입자가 하상이나 해변 중에 집중적으로 퇴적된 것이 사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금 중 일부는 산에서 캐낸 ... ...
샐러리맨의 꿈 「재택근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시작된다. 그래서 저녁시간은 예전처럼 늦어지기 마련이지만 출퇴근 시간에 2,3시간을
허비
한 후 파김치가 되어 돌아올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몸과 마음이 상쾌하다.기혼 여성에 적합회사에 출근하지 않고도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 안방에서 회사 업무를 처리하는 정보 사회의 새로운 ... ...
마음은 벌써 시베리아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졸업장만 따는 것을 목표로 삼고 만다.또한 전자의 경우에는 성공해도 시간과 노력이
허비
되고 실패하면 더 말할 나위도 없다. 아무튼 학과의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성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냉정하게 자기를 돌아보고 자기가 원하는 이상형에 현실의 자기가 부합되는지 확인해 본 다음에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위성을 운반하기 위하여 제공한 로켓도 있다.그러나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아까운 때를
허비
한 시기가 있었다. 1966년부터 1976년에 걸쳐 진행된 문화대혁명의 10년간은 생산과 과학연구가 거의 정체되었고 또 파괴되어 손실이 대단히 컸다. 그러나 그 뒤 지금까지의 10여년간의 회복기를 지나 바야흐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