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협력"(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여러 기술적 이유로 회전하는 모습으로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여러 나라의 협력으로 인간이 장기 거주하는 최초의 우주정거장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곳에서 수많은 연구 업적도 쌓고 있다. 앞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국제우주정거장은 여전히 정부 주도로 개발하는 중국을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무게를 줄인다. 지금보다 더 가벼운 재료를 찾기 위해선 앞으로 더 많은 과학 분야가 협력과 경쟁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다하며 세상을 바꿀 새로운 재료를 탄생시킬 수 있길 바라며 6개월간 이끌어온 ‘초(超)재료’ 연재를 마친다. ※ 편집자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반응이 있다. 한두희한국항공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금속입자연소추진파이로 분야의 전산해석(Computational Fluid Dynamics)적 모델링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 ...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M87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2019년 국제 연구협력 프로젝트인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이 처음으로 촬영했다. 이번 관측은 미국 9개, 유럽 6개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한 국제 밀리미터 초장기선 간섭계 관측망(GMVA)과 더불어 칠레의 전파간섭계(ALMA), ... ...
- [논문탐독] 수소 에너지를 현실로 더 가까이, LOHC 신소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LOHC 소재는 이 상용화에 이르는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해서 LOHC 소재가 실생활에 직접 쓰이고 미래 산업에서 반드시 필요한 신소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태완양대 화학공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수소 에너지를 위한 촉매 기술을 ...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땅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부지 내에 각각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대전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대덕특구의 향후 50년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대덕특구가 출범 100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도 우리나라 원천기술의 산실 역할을 할 수 있도록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세포들이 함께 모여 보다 조직화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때, 세포들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특정 기능을 하는 단위를 조직(tissue)이라 부릅니다. 그리고 여러 조직들이 다시 모여 더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단위를 기관(organ・장기)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신경세포 하나하나는 우리 몸에서 ... ...
- [과학사 극장]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이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동료 과학자들도 이해하기 힘든 논문을 낸다는 것은 이 협력의 네트워크에 속하기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런 점에서 시작부터 실패를 선택하는 길이다. 아인슈타인이 그런 선택을 했다면 당연히 오늘날 우리는 그가 누군지 모를 것이다. 의혹 3 아인슈타인이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미국과 소련의 냉전은 1990년대에 끝났다. 이제 우주는 경쟁을 위한 장소가 아닌 협력을 위한 장소가 됐다. 미국과 러시아는 영국, 프랑스, 일본 등과 함께 지표면으로부터 약 400km 떨어진 우주에 국제우주정거장(ISS)을 만들었다. 2000년 11월 2일, ISS에 첫번째 장기 투숙객이 들어왔다. 미국의 윌리엄 ... ...
- [5년 후, 과학은] 미래를 위한 오래된 신소재 강유전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개발은 당장은 불가능해보여도 포기하지 않았던 연구자들의 노력과 정부 및 산학연의 협력이 더해져서 가능했습니다. 강유전체 기반 메모리도 아직은 상용화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현재 그리고 이 글을 읽고 있을 미래의 재료공학자들의 손으로 또 다른 혁신이 이뤄지리라 믿습니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