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세
환대
자손
후예
애고
정중
d라이브러리
"
후대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꺼끌꺼끌한 피부를 사포처럼 사용하기도 했답니다. 이처럼 선조들의 다양한 경험이
후대
에 전해지면 서 쌓인 지식을 ‘전통지식’이라고 불러요. 하지만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대부분의 물건을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대 사회로 들어오면서 유용한 전통지식들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지요. 이제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꼼꼼하게 남긴 기록은
후대
천문학자의 연구에 선물이 됩니다. 최근에는 태양 활동의 새로운 주기를 밝혔죠. 우리 선조의 기록으로 어떻게 새로운 주기를 찾았을까요? 일관된 흑점 기록이 중요한 단서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 중 가장 흥미로운 현상은 바로 ‘흑점의 활동’입니다. 흑점은 강한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적지만 관측 실력이 뛰어나 수치가 정확했고, 관측 시스템과 기록 방법이 일정해
후대
학자들이 연구하기에도 제격이지요.현대 천문학자들은 망원경과 함께 이런 과거 자료를 연구합니다. 그래서 어찌보면 정확하고 정교한 자료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는 또 다른 망원경을 가진 것과 다름없습니다. ... ...
3차원에도 황금비가 있다, 플라스틱 수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책 ‘원론’에 선분을 나누는 문제를 설명했습니다. 이 문제의 답이 1.61803…이었지요.
후대
의 학자들이 이 수를 황금비라 부르며 자연과 미술, 건축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황금비를 발견했습니다. 플라스틱 수는 1928년 네덜란드의 건축가이자 가톨릭 수도자인 한스 반 데르 란이 발견한 수입니다. ... ...
[해외취재] 장이권 교수님과 야생 속으로 GO! 생생 대만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조금은 무뚝뚝한 표정에 큰 눈망울, 촘촘하게 온몸을 감싸고 있는 갈색 점박이 무늬와 어떤 충격도 이겨낼 것 같은 강인한 등껍질까지! 헤엄치 ... 더러웠던 강을 기억하고 경각심을 갖자는 의미로 남겨두었다고 해요. 복원뿐만 아니라
후대
를 위한 교육까지 생각하는 마음이 느껴졌답니다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한 르네상스 시대를 떠올리곤 하죠. 정교하고 섬세한 그림으로 유명한 르네상스 회화는
후대
의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줍니다. 그리고 수많은 예술가들을 홀린 르네상스의 그림 그리는 법에는 ‘수학’이 있습니다. 수학적으로 그림 그리는 법을 알아 봐요.멋진 광경을 그림으로 남겨보고 싶고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말했다. 생식세포(정자, 난자)와 수정란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후대
로 고스란히 유전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합법적인 임상시험의 경우 대부분 T세포 등 체세포로 제한하고 있다. 이런 제약에도 불구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은 계속 연구될까. 김 센터장은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가설’입니다. 리만은 불과 3개의 영점만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 모든 숙제를
후대
수학자에게 맡겼습니다. 올해는 그가 리만 가설을 발표한 지 160년이 되는 해입니다. 지금도 인류 최고의 수학자들은 리만이 남긴 소수의 비밀을 풀기 위해 도전하고 있습니다 ... ...
[수학뉴스] 1월의 수학자 - 다비트 힐베르트 탄생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회의적인 사람들을 겨냥해 한 마디 남깁니다. 이 말은 훗날 그의 묘비명으로 쓰였으며,
후대
의 많은 학자들에게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우리는 알아야만 한다! 우리는 알게 될 것이다 ... ...
part 2. 최저가 여행, 외판원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출발점으로 되돌아와야 하는 퍼즐을 고안했습니다. 이 퍼즐은 보드게임으로 판매되다가
후대
사람들이 이런 종류의 문제에 해밀턴 이름을 붙여 학문적으로 연구하게 됐지요. 모든 점을 한 번씩만 지나는 것을 ‘해밀턴 경로’, 여기서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해밀턴 회로’라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