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galaxy"(으)로 총 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과학동아 l1993년 12호
- to hold the groups together, so eventually the stars move apart. This would explain why most of the older stars of the galaxy exist alone, including our Sun.The most exciting hypothesis of Stro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과학동아 l1993년 11호
- 관측된다.거대천체의 신비로움, 은하별이 약 1천억개 정도 모여서 이루는 집단을 은하(galaxy)라 부른다. 이 은하에는 별만 있는 것이 아니고 성단이라고 부르는 별이 밀집된 지역과 성운이라고 부르는 기체나 먼지 등으로 구성된 성간물질 덩어리도 있다. 그러므로 은하들은 수만 광년의 반지름을 ...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과학동아 l1993년 04호
- 은하로, 10.2등급의 표면 밝기를 유지하기 때문에 작은 망원경에서도 옆면은 하(edge-on galaxy)에 가까운 은색의 판과 같이 보인다. M65의 얇고 밝은 판 부분은 대부분의 망원경으로 볼 수 있지만, 엷게 얼룩진 아지랭이를 구성하는 이 은하 주변부를 보기 위해서는 8인치 이상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M65와 M ...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과학동아 l1993년 04호
- as its light passed through them, and made it easier to calculate their distances. There's more dust in our own galaxy than the Large Magellanic Cloud, with little dust in the space between us. ...
- 빅뱅이론 총정리과학동아 l1992년 12호
- 있는 은하의 움직임을 통해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M81이라는 아주 거대한 나선 은하(spiral galaxy)는 약 1백㎞/초로 지구로부터 멀어져 가고 있는데 이의 지구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약 1천만 광년이다. 또한 처녀자리(Virgo)은하단은 약 1천㎞/초의 속도로 지구로부터 멀어져 가고 있는데 이들의 지구로부터 ... ...
- 블랙 홀 탱고과학동아 l1992년 10호
- by watching changes is the wavelength of their light. Astronomers John Kormendy and Douglas O. Richstone studied galaxy NGC 3115, 30 million light-years from us.Apparently, its nucleus is not o ...
- 3 통신·방송용 상업위성 세계 구석구석 연결, 동시생활권으로과학동아 l1992년 09호
- 1991년 1월 현재 34기의 위성을 운용 하고 있다. 미국의 CATV 서비스는 전용위성인 갤럭시(Galaxy)와 새트콤(Satcom) 등으로 활발한 반면 직접방송(DBS) 사업은 비교적 부진한 편이다.일본도 1977년 통신위성(CS) 및 방송위성(BS)을 개발하여 국내 위성통신 및 방송에 이용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텔레콤(TELECOM) .. ...
- 밝은 성단(星團)과학동아 l1992년 08호
- The violence of this encounter may have generated the birth of new clusters.The Hubble telescope has also examined a galaxy named ARP220 which turned out to contain six star clusters that are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그 진정한 정체를 알지 못했던 때부터 서양에서는 Milky Way로 불려졌다. 은하를 뜻하는 Galaxy도 '우유'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gala'에서 유래한 말이다. 1609~1610년 겨울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통해 이 우유가 흐르는 강이 눈으로 셀 수 있는 것보다, 또는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별들임을 발견하게 ...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구상성단(성단의 질량은 태양의 수십만배이다)과 아주 흡사한 왜소타원은하(dwarf elliptical galaxy)에서부터 그 질량이 태양의 수백조배(${10}^{8}$${M}_{⊙}$)에 이르는 거대타원은하(giant elliptical galaxy)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팔의 발달정도 왜소타원은하는 우리은하내의 구상성단과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