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성
혹성
d라이브러리
"
planet
"(으)로 총 91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별 사이를 움직여 간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그래서 다섯 별에 ‘방랑자’라는 뜻의 ‘
PLANET
’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이것이 떠돌이별 ‘행성’이다. 실제로 행성은 스스로 태양 주위를 돌고 있고 덩달아 지구도 공전하고 있으므로 이 둘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행성의 움직임은 매우 복잡하다.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2월 명왕성을 소행성으로 재분류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명왕성을 계속해서 행성(
Planet
)으로 부르기로 했다. 천문학자들에게는 의미가 없는 일이지만, 아홉 행성의 막내로써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전통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④ 또다른 태양계가 있다 - 지구 같은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그는 1894년 애리조나주에 천문대를 세우고 9번째 행성을 찾아 나섰다. 그러나 'X 행성' (
planet
X)이라고 이름 지은 그 행성은 그 앞에 나타나지 않았다.로웰의 꿈은 클라이드 윌리엄 톰보(1906-1997)가 이뤄냈다. 아마추어 천문가인 톰보는 너무 가난해 대학을 진학하지 못했다. 그는 손수 거울을 닦아 9인치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직접관측 계획일 것이다. 1995년부터 NASA에서 추진하고 있는 ExNPS(Exploration of Neighboring
Planet
ary Systems)에서는 53개 대학의 약 1백35명의 연구인력이 동원돼 2015년까지 외계행성을 직접 보기 위한 지상 및 우주관측을 장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특히 2005년부터는 자외선관측 우주선을 발사 ...
행성의 이름은 어떻게 짓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task group develops additional conventions as it formulates an interesting and meaningful nomenclature for individual
planet
ary bodies. Most of these conventions are self evident from study of ...
96화성퍼레이드 적색경보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보인다.붉은 별 징크스러시아는 오래 전부터 화성 개척에 열을 올려왔다. 붉은 행성(red
planet
)으로 불리는 화성은 옛소련의 국기에 등장하는 붉은 별과 같은 이미지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옛소련이 그랬듯이 러시아도 운이 따라주지 않았다. 지금까지 18번 시도해 성공한 것은 4-5회에 그치고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것" 이라고 말했다.인터넷 엑스포가 지향하는 목표는 '또하나의 지구 사이버 플래닛(Cyber
Planet
)의 창조'. 다시 말해 인터넷이란 가상공간에 새로운 지구, 신인류, 신문화를 만들자는 것이다. 말라무드는 "올해 처음 열리는 인터넷 엑스포는 앞으로 10년쯤 후에나 가능한 초고속 정보통신사회의 한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해왕성 크기의 행성을 찍을 수 있다. 또 NASA는 2010년경 '행성탐색기'(
planet
finder)를 띄울 계획이다. 이것은 5개의 1-2m급 망원경으로 이뤄지며, 행성간 먼지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목성궤도 바깥에 머무르게 된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가까운 별에 딸린 지구 크기의 행성을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결책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해답암호 1NEW DISCOVERIES SHOW THAT LIFE AS WE KNOW IT BEGAN IN ANAMAZING BIOLOGICAL FRENZY THAT CHANGED THE
PLANET
ALMOST OVERNIGHT암호2지적 호기심이나 진리에 대한 욕구를 인간의 인식발전의 궁극적인 추진력이라고 볼 수는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R값은 10으로 추정한다.다음 항목는 ${f}_{p}$는 별 중에서 행성을 가지고 있을 확률(p는
planet
을 의미함). 별의 형성이론에 따르면 원시성운으로부터 태양 정도의 질량의 별이 탄생할 때 행성계를 가지는 것은 보편적인 현상이다. 원시성운이 회전운동에 의해 납작한 원반을 형성하고 그 원반에서 행성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