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어린이과학동아
"
독특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유튜브 돌아다니다가 본 건데
포스팅
l
20240116
2016년 이름이 굉장히
독특
하네요 ㅋㅋㅋ지금이 갑진년인데 이름 한 번 찾아보세요 ㅋㅋㅋ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
을 다녀오다.
기사
l
20231123
살기 위해 투구게를 집단으로 벨트로 묶어서 피를 추출했던 장면을 작년에 본 기억이 나서 너무 안타깝고 미안했어요. 투구게는
독특
한 면역체계를 가져 지구에서 수억 년간 생존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려요. 투구게의 몸 속에 병원균이 침입하며 혈액이 세균을 딱딱하게 굳게 만들어 감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현재 살아있는 생물 중 이런 면역체계를 ...
불꽃 색의 비밀
기사
l
20231115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불꽃 반응이란, 금속 원소를 포함한 물질에 불을 붙였을 때 금속 원소에 따라
독특
한 색의 불꽃이 나타나는 현상 입니다. 이때 나타나는 불꽃색으로 물질 속에 포함된 원소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위에 있는 그림은 몇 가지 불꽃색을 나타낸 것이랍니다. 그럼 불꽃색이 잘 나타나지 않거나 리튬과 스트론튬처 ...
동물들은 물건을 어떻게 볼까?
기사
l
20231109
김윤아기자입니다 오늘은 동물들은 몰건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자신만의
독특
한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강아지는 못보는 색깔이 있습니다. 강아지들은 파란색, 회색, 노란색만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강아지들은 빨간색과 초록색 사과도 모두 노란색으로 보인다고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있습니다. 대신 강아지들은 ...
전세계의
독특
한 과일 Top3
기사
l
20231021
안녕하세요 김윤아 기자입니다. 오늘은 전세계 있는 과일 중
독특
하게 생긴 과일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제 기준으로..) 먼저 Top3는 람부탄라는 과일입니다.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shop1.phinf.naver.net%2F20230905_65% ... 복의 상징으로도 불려 ...
비슷하지만 다른 무당거미와 긴호랑거미
기사
l
20230916
무당거미와 긴호랑거미의 특징과 구별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 무당거미 무당거미의 특징은 노란색 바탕에 초록, 검은색
독특
한 무늬가 있습니다. 배면 아래쪽은 붉은색 무늬가 있습니다. 화려한 무당거미 옆은 짙은 갈색 작은 거미가 있다면 그 거미는 수컷 무당거미입니다. 암컷과 수컷은 몸집이 크기 차이가 있습니다. 거미줄은 불규칙하게 세 겹을 ...
네덜란드 여행기 4 (로테르담)
기사
l
20230827
발표를 마치고 오후 4시가 되서 로테드담에 기차로 도착했다. 로테르담은 암스테르담과는 완전히 다르게 건물이 현대식으로 지어졌고
독특
한 모양의 건물이 많았던 곳이다. 로테르담에서 7년째 거주 중인 건축 전문가께서 가이드를 해 주셨는데 너무 재밌어서 시간가는 줄 몰랐던 것 같다. 로테르담은 제 2차 세계 대전 후에 도시가 파괴되었는데 전후 복구가 ...
mama2ins - 230801 - 1
탐사기록
l
20230801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매미가 탈피해서 나온후 휴식하고 있는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참매미인것 같으나 탈피 후 색이
독특
하여 따로 매미분류를 하지 않았습니다. ...
지사탐 야간 번개 탐사의 주인공은 [매미]였습니다
기사
l
20230730
매미는 투명한 날개를 가진 반면 유지매미는 불투명한 날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처음 보았는데 날개가 너무 이쁘면서도
독특
하였습니다. 매미에 대한 몇 가지 말씀도 해 주셨습니다. 매미의 수가 많은 이유는 매미가 공격하는 새나 동물은 없지만 천적은 많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많은 알을 낳아야 해서라고 합니다. 또한 매미는 불완전 탈바꿈하는 ...
[챌린지]한국의 파브르 석주명 선생님
기사
l
20230729
보여주는 대표적인 과학자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생물학은 다른 분야와달리 향토색이 짙어 한국학적 생물학이 가능하다는
독특
한 과학관을 가져 이 나비연구를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조선적 생물학자라고 칭하고 나비연구를 조선학으로 해석했습니다. 조선적 생물학으로 민족적 가치를 부여했습니다. 다른 과학자들과 달리 유연관계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