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두개골"(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꾸룩새 연구소기사 l20191113
- Yellow-throated Bunting (국립중앙과학관 - 우리나라 텃새)] 걸어가다가 선생님께서 땅에서 발견된 새 사체를 보여주셨다. 척추, 두개골과 날개가 선명하게 보였다. 다른 부위는 얽히고 설켜서 알아보기가 힘들었다. 죽은 새가 불쌍했다. 뒷쪽에는 bee’s hotel 이 있었다. 나무에 인공적으로 구멍을 뚫 ...
- 이중인격 목소리기사 l20191102
- 공기 전도 뿐만 아니라, 입 밖으로 나오지 않고 몸 안에서 울리는 소리도 함께 들리게됩니다. 성대의 진동으로 만들어지는 음파가 두개골을 진동시킨 후 외이도와 고막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내이에 들어와 소리로 들리게 되는데, 이를 골전도라고 합니다. 타인이 듣는 목소리와 녹음된 목소리는 공기전도, 자신이 듣는 소리는 골전도+공기전도인 것입니다 ...
- 뇌의 기능과 구조에 대해 알아봅시다.기사 l20191026
- 머리 안에는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우리 머리 안에는 딱딱한 두개골도 있고, 혈액도 흐르고 있고, 가장 중요한 뇌도 있습니다. 뇌는 우리 몸의 모든 기능과 움직임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매우 중요한 일을 맡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뇌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알아봅시다. ① 대뇌 - 기억, 추리, 판단 등의 정신 활동 담당 ▷ ...
- 꾸룩새 연구소에 다녀와서 .기사 l20191003
-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제가 분해한 펠릿은 집쥐와 땃쥐 뼈였습니다. 새 두개골이 온전히 나온 친구도 있었고 소장님이 보여주신 쥐 두개골에서 미처 자라지 못한 치아가 숨겨져 있는 모습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나중에 다시 펠릿 분해를 한다면 뼈를 좀 더 세심히 살펴보고 싶습니다. ... ...
- 깃털공룡 [오비랍토르]류의 신종 공룡 발견! 식성까지 밝혀진거 실화?포스팅 l20190207
- 새로 밝혀진 [오비랍토르]류의 신종 공룡 발견되었습니다. 바로 [고비랍토르 미누투스]의 죽기 전 모습을 복원해냈죠. 태어난지 1~2년 된 어린 개체로 두개골과 골반, 다리뼈 등이 일부 발견되었죠. 두꺼운 주둥이를 갖고 있으며, 조개 등 단단한 먹이를 먹었죠. 그러면 오비랍토르 미누투스는 육식일까요, 잡식일까요, 초식일까요? 정답은 육식 또는 ...
- 영종 인천 학생 과학관에 다녀오다기사 l20190113
- 좀더 가보면 공룡 화석들이 나옵니다. 공룡이 살았던 시대에 동•식물 화석과, 티라노 사우루스의 뼈도 있습니다. 오래전 인간의 두개골 입니다. 둘러보면 초파리의 돌연변이라는 제목에 글이 있습니다. 미국에 사는 모건은 어느날 머리부터 발끝까지 하얀색인 초파리를 보았습니다. 초파리가 돌연변이한 모습을 본 것이죠. 돌연변이는 생물의 형질에 부모의 계 ...
- 부엉이, 올빼미들의 진실!!기사 l20180902
- 동물들을 잡아먹을 때는 어떤 것들이 나올까요? 동물들의 종류는 크게 설치류, 땃쥐류, 두더지, 조류 로 나뉩니다.(뼈 도표 참고) 뼈는 두개골, 아래턱 뼈, 어깨뼈, 앞다리 뼈, 뒷다리 뼈, 골반뼈, 갈비뼈, 그리고 척추뼈로 나뉘죠. 거기다 땃쥐류, 조류 등이 먹은 씨앗들도 펠릿에서 나오곤 하죠. 이렇게 펠릿에서는 부엉이, 올빼미들이 먹은 것 ...
- 대전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다기사 l20170311
- 아시아에 서식했던 육식공룡입니다. 두 발로 걸어다녔습니다.날카로운 이빨과 아주 작은 이빨이 특징입니다. 티라노사우르스의 두개골이 아주 컸습니다. (제 머리와 비교사진) 그리고 좀 더 돌다보니 독수리가 눈에 띄었습니다. 독수리 박제와 골격을 비교해보시죠. 이렇게 보니 독수리는 살과 털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옆에는 뱀이 있었습니다. 독 ...
- 동물 권리 보호 4편 - 길고양이도 살아갈 권리가 있어요(1)기사 l20170221
- 무슨 처벌을 받을지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합니다. 또, 길고양이에게 돌을 던지거나 때리고, 길고양이 사료에 독극물을 타고, 두개골을 부수거나 머리를 잘라 죽이는 등 잔인한 학대 소식이 끊이지 않고 들려오고 있습니다.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캣맘, 캣대디들에게 무차별적인 언어 폭력과 신체 폭력을 가하는 경우도 번번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대 ...
- 매머드, 과학으로 깨어나다기사 l20161106
- 구별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털매머드 표본을 직접 봤습니다. 그곳에는 털매머드의 상아 표본, 어금니 표본, 대퇴골 표본, 두개골/하악/상악 표본,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털매머드의 피부 표본, 털 표본이 있습니다. 피부 표본은 두께가 2cm나 된다고 합니다. 그 당시 매우 추웠기 때문입니다. 대퇴골 표본은 제 동생 키(1.2m)보다 큰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