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산소"(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 따러 가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현장 미션)기사 l20240613
- 3. 달 자원이란? 달에는 물, 휘발성 물질, 광물자원, 에너지 자원 등이 있으며 특히 철, 티타늄, 마그네슘, 헬륨도 있고, 산소, 규소, 알루미늄, 칼슘 등 지구에 있는 물질이 다 있다는게 신기했어요. 지구에 있는 물질이 똑같이 있으며 다만 구성비율이 다르다고 해요. '그렇다면 진짜 우리가 달에서 살 수도 있겠구나!' 라는 ...
- 이끼,곰팡이 취급하면 손해다!기사 l20240606
- 이끼는 주로 미세먼지와 탄소,산성화 물질을 좋아합니다 우리가 내뱄고 지구 온난화의 주 원인이 되는 이산화 탄소를 좋아합니다 산소를 만들고 탄소함량을 낮춥니다 여름에는 냉방비를 절약하고 겨울에는 보온비를 절약하는 냉방,보온의 역할을 둘다하는 식물인데요 그래서 이끼는 자연의 청소부 이산화탄소를 먹는 특별한 식물입니다 2.이끼를 키워 ...
- 달 표면을 달릴 나만의 를 소개합니다!기사 l20240605
- 유용한 기능 ▼운석 트렁크: 달 암석 담는 곳 ▼고성능 태양 전지판: 2개의 태양 전지판 (1회 충전으로 6시간 사용 가능) ▼밀폐된 문: 산소가 빠져 나가지 않게 rock! ▼수신 안테나: 클수록 전파를 많이 받을 수 있으니 "지구 수신용" / "기지 수신용" ▼시료 채취 드릴: 달 토양 분석을 위해 장착 ▼운전 조종석: 2인 우주인 탑승 ▼ ...
- 대한민국에도 오로라가 관측 되었다고?기사 l20240519
- 산소와 같은 기체들을 들뜬 상태로 만들고,들뜬상태의 입자들이 바닥상태로 전이하면서 에너지 차이 만큼의 빛을 내는 건데요, 산소의 경우 들뜬 상태에서 준안정 상태로 전이하면서 녹색선을 만들고, 준안정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적색선을 만드는 것 입니다. ( 전이 뜻: 양자 역학에서, 입자가 어떤 에너지의 정상 상태에서 에너지가 다른 정상 ...
- 우주를 향한 모험의 시작! 제14회 고흥 우주항공축제에 발자국을 남기다!기사 l20240512
- 이유는.... 첫 번째, 흰색은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화제로 액체산소를 사용하는 누리호는 온도에 민감한 액체산소를 햇빛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사체를 흰색으로 도색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정전기 방지를 위해 칠하는 전도성 페인트가 흰색인데 비행중 번개로 인한 고장이 발생 할 수 있어 이 페인트 ...
- 고흥 나로우주축제, 우주의 희망에 한 걸음 내딛다.기사 l20240512
- 발사체의 공급원이 되는 것입니다. 많은 연료와 산화제, 전기를 주입하는 이유는 지상 위쪽으로 가면 연료가 아무리 좋고 많아도 산소가 없어 잘 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때 산화제와 전기가 연료를 타게 해줍니다. 다음으로, 보관동에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누리호 개발에 참여하신 연구원님의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발사체의 개발 단계는 일반 ...
- 용인곤충테마파크에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40505
- 딱정벌레 종 수가 400,000 마리이고 지구의 모든 동물 가운데 4분의1이딱정벌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가 산소를 들이마시면 산소가 반딧불이의 세포 속 루시페린과 결합해 빛을 냅니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원리죠. 위:많은 곤충 표본 1층 더 내려가 치유곤충관에 갔습니다. 거기에는 피톤치드 냄새가 났습니다. 왕귀뚜라미 소리 ...
- 마리모가 뜨는 이유기사 l20240402
- 부력이 생겨 떠오르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리모는 24시간 주기에 일주기 리듬 이 있는데 밤엔 자고 낮에 광합성을 통해 더 만은 산소 기포를 볼 확률은 낮이더 높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반대로 물관리를 제대로 못하면 마리모에 부력이 감소해 물위로 떠오를 수 있으니까 마리모 키우기 과정에서는 물관리가 가장 중요하겟죠 ... ...
- 천연기념물사랑 - 240316 - 1탐사기록 l20240316
- 개구리를 봤습니다가족들과 외할아버지 산소를 돌보며땅을 파다가 보았습니다. ...
- 인천 강화자연사박물관 - 강화도에 찾아오는 철새기사 l20240202
- 철새와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철새들을 알기 쉽게 설명과 전시가 되어 있었습니다. 강화갯벌은 유기물이 풍부하고 해수의 유동으로 산소가 공급이 잘 되어 다양한 생물종들이 살고 있어서 철새가 많이 찾아 온다고 합니다. 강화갯벌은 저어새의 번식지로 세계적으로 우수한 갯벌로 갯벌보존과 저어새의 번식 서식환경으로 보호하기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보호하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