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산업"(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첫 상업용 초소형 지구관측 위성을 개발해 발사에 성공한 나라스페이스를 방문하다!기사 l20240707
-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하던 중 2012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1회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수상하며 본격적으로 우주산업에 들어섰습니다.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했고 같이 참여했던 동년배들과 2015년 현재의 나라스페이스를 설립했습니다. 저희는 박재필 대표님을 인터뷰 해보았습니다. ...
- 대한민국의 하늘과 우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다녀오다기사 l20240630
- 진짜 위성을 보다니 아주 놀라웠습니다. 엘리베이터 모양같았습니다. 그곳엔 KAI 연구원분들도 있었습니다. KAI는 한국항공우주산업입니다. 아리랑 6호가 발사되지 않았던 이유는 아리랑 6호가 원래 러시아에서 발사될 예정이었는데, 러시아 전쟁때문에 발사를 하지 못했습니다. 다행히 내년말에 발사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
- 기사 l20240625
- 직업들은 인류의 우주 개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앞으로도 많은 기회와 도전을 제공할 것입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우주 산업은 더욱 성장할 것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우주 관련 직업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직업이 가장 마음에 드시나요 ... ...
- 우주는 개발이 아닌 활용이다!(어린이우주인 선발대회 현장미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기사 l20240623
- 위성으로는 천리안위성 1, 2, 2B, 3호를 만들었습니다. 최근에는 다누리호 개발을 하기도 했고, 달 착륙과 화성 탐사 등 다양한 우주산업을 예정해 두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우주발사체 중 로켓도 KSR-ㅣ부터 차세데 발사체까지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이중 차세대 발사체는 지금 개발중인 발사체로 우리나라의 다양한 과학기술이 탑제돼어 있고 ...
- 우리의 우주산업이 이루어지는 곳!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40622
- 어두운달의 뒷면이어서 그런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는 다누리만 있다고 합니다. 그 점에서 저는 우리나라 우주 산업이 발달 된 정도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견학하고 너무 아쉬웠습니다. 분명히 2시간 동안 견학을 했는데 20분밖에 안지난 느낌이었습니다. 다음 번에도 기회가 된다면 꼭 다시한번 한국항공우주연 ...
- [항우연현장미션] 하늘과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꿈의 실현 현장에 다녀오다.기사 l20240620
- 합니다.. 연구중이신 연구원분들의 연구복을 보니 색깔도 다르고 KARI나 KAI 연구복의 마크도 서로 달라서 이유가 궁금했는데 다양한 산업체가 협력하여 근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듣고나서 인공위성을 만드는 것에는 많은 사람들의 땀과 노력이 깃들어 있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꼈습니다. 그리고 조립실마다 중앙에 커다랗게 대한민국 국기가 걸 ...
- 안정만이 살길, 의사 폭동 사태기사 l20240619
- 자신들의 금전적 이익을 위해 난동을 일으킨 것입니다. 실제로 조승연 지방의료원연합회장은 이 말을 했습니다. 최희선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위원장도 "의사 집단행동에는 정당성이 없다"고 혀를 찼습니다. 게다가, 대한의사협회와 의사 폭도들이 제시한 근거 자료의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가령 의사 폭도들이 제시한 OECD 보건 통계 자료는 2019년도 ...
- (현장미션)이제 우주개발의 시대가 아니라 우주활용의 시대이다.기사 l20240619
- 우주에서 위성을 통해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인구 밀집도를 온도로 판별 분석하거나 차량 보유 등 다양한 산업에 제공된 데이터 가치 산업의 시대가 오리라 보시나요? 아님 우주쓰레기를 철거하는 우주평화조약기구의 일원으로 우주환경단체 설립을 꿈꾸시나요? 오늘도 많은 생각과 함께 제 미래를 꿈꿔보며 진짜로 잠들어 집에까지 잘 도착해 ...
- 수원시의 영원한 마스코트, 수원이!!기사 l20240618
- "꽥꽥"하는 청개구리와 다르게 낮은 소리로 "끅끅"하며 울어대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원의 대표 동물인 청개구리가 산업개발과 기후변화로 위기에 있는데요, 전 세계를 통틀어 수원 청개구리는 현재 약 2천여마리 정도만 생존 중으로 추정됩니다. 수원이가 영원한 수원시의 마스코트가 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환경을 보전합시다! ...
- 한강을 되살리다, 한강 종합 개발 사업기사 l20240611
- 오늘은 한강 종합 개발 사업에 대해서 써보려고 해요. 함께 알아볼까요? (사진출처: 서울특별시)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로 인한 수질 오염 문제와 여름에 집중호우가 내리고 겨울에 건조한 기후 특성으로 인해 한강변 주변에서 발생한 홍수 피해 문제가 한강에서 발생했어요. 게다가 한강변에 넘쳐 나는 무허가 판잣촌도 문제였지요. 19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