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신호"(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여행의 참사, 모산역 건널목 충돌 사고기사 l20240224
- 참사에 대한 동아일보의 기사에 수록되어 있는 사고 현장 약도를 보면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기에 이는 운전기사가 신호기를 무시하고 건널목을 지나갔다는 것이죠. (사진출처: 네이버 포스트) 그리고 또 다른 원인은 학생들의 버스 내 안전수칙 무시였어요. 당시 생존자들 증언에 따르면, 버스를 타고 가던 중 학생들이 분위기에 ...
- [기사콘 챌린지]기사 l20240219
- 2. 박쥐의 머리, 양쪽 날개, 꼬리에 있는 노란색 동그라미는 센서 입니다. 어떤 기능이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밀렵꾼을 감지하면 신호를 보낸다. 2 밀렵꾼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준다. 3 밀렵꾼이 무엇을 밀렵하는지 알려준다. 4 밀렵꾼이 몇 명 인지 알려준다. ...
- 멀미약의 원리기사 l20240214
-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파학을 정지합니다. 그러면 몸의 중심을 담당하는 기관인데 왜 서있을 수 있을까요? 우리 몸은 대부분의 신호를 뇌를 통해 받습니다. 뇌에는 전달하는 선이 많기 때문에 한 곳이 마비되어도 이상이 없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
- [기사콘 챌린지] 자율주행 로봇기사 l20240208
- 직접 운전을 하지 않아서 장거리를 오랜시간 운전하는 사람들의 피로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율주행차는 과속을 하지 않고 신호를 지키며 규정속도로 달리니 안전하게 느껴졌습니다. 자율주행차는 교통법규와 속도를 지켜서 안전하게 주행을 할 것 같습니다. 저는 자동차의 편리함이 정말 좋습니다. 장거리를 여행할 때 자동차를 이용하면 시간과 체력을 ...
- 인간 뇌에 칩 이식/원숭이도 비디오 게임?기사 l20240207
-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BCI라고 들어보셨나요? BCI는 브레인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약자입니다. 뇌와 컴퓨터 사이에 신호라는 거죠.) 일론 머스크는 지난 5월에 FDA로 부터 인간의 뇌에 칩 이식 실험을 허가 받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8개월만에 실제로 실험을 한 것입니다. 환자는 현재 잘 쉬고 있고 모두 계획대로 잘 되고 있 ...
- STEAM 무선 조종 탱크 개봉과 완성 후기!기사 l20240203
- 넣는 면이 있어요. 그리고 조종신호 송신을 위한 긴 안테나를 달았어요. 다음으로 탱크를 제작하기 시작했어요~! 탱크는 판 위에 신호 수신기판, 모터, 배터리 박스를 연결했어요. 사진에서 보이는 노란색이 모터, 중간에 있는 갈색이 수신기판, 검은색이 배터리 박스예요. 다음으로 합판을 대어 옆면의 본체를 조립했어요. 이 ...
- [기사콘 챌린지] 나의 자율주행 로봇 만들기기사 l20240131
- 안전한 길을 찾아 비행합니다. 이 비행기의 장단점을 알려드리자면 장점은 사고가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파일럿들이 관제탑의 신호를 받아 비행을 하게되면 실수와 소통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율비행기는 로봇끼리 소통하고 비행하기 때문에 사고와 실수가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단점으로는 관제탑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비행기를 운전하는 파일럿 ...
- 추천하는 로블록스 게임, Emergency Hamburg기사 l20240125
- Locker에서 장비를 챙긴 후 Vehicle Dealership에서 견인 트럭, 또는 긴급 출동 차량을 스폰할 수 있죠. 자동차 정비사는 차량을 견인하거나 신호등을 수리하거나 차량에 연료를 공급하여 XP를 얻을 수 있어요. XP를 많이 얻으면 더 좋은 견인 트럭 또는 긴급 출동 차량을 가질 수 있죠. 그 외에도 버스 기사, 트럭 기사가 있어요 ...
- 나라 구한 이순신기사 l20240118
- 3.이순신은 연을 이용해서 신호를 보냈어요. 약속된 모양의 연으로 신호를 보내서 왜군은 그 내용을 몰랐지요. 신호를 보내는 연은 신호연이라고 불렸어요. 된방구쟁이 연: 달이 뜨면 공격 하라. 반장연: 소형선 함장 소집 명령. ...
- 인류의 시작기사 l20231122
- 일을 나누면 더 십게 동물을 잡을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여럿이 같이 사냥하려면 할 일을 정하고 때에 맞춰 어떤 행동을 할지 신호를 보내야 했어요. 사냥물을 어떻게 나눌 지도 의논해야 했죠. 서로의 생각을 전달할 수단이 필요해진 거였죠. 처음에는 길이나 높낮이가 다른 소리를 내어 전달했어요. 그러던 것이 점점 다른 소리로 변해 갔죠. 사람의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