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어린이과학동아
"
지적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목격자로써 공론화 정리를 좀 해보자면
포스팅
l
20221009
음슴체 주의)1. 정ㅇ서님이 포트폴리오 상메를 일본어로 써놓으심 2. 권ㅇ아님이 한글날에 까지도 일본어로 상메를 해 놔야 겠냐고
지적
하심 3. 조금 말 다툼 하시다가 정ㅅ훈님이 껴서 일본어로 좀 할수도 있지 하면서 윤아님
지적
, 윤서님 쉴드 4. 그 뒤에 염ㅇ리아님도 들어와서 다툼하심 5. 정ㅇ서님이 좀 빡치셨는지 공론화 올려버림 ...
스피노사우루스의 대한 거의 모든 것 ꧁༺합본༻꧂
기사
l
20220924
배열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다. 이전까지는 바리오닉스의 몸에 신경배돌기가 솟은 모습이였다가, 척추 배열이 잘못되었다는
지적
이 생겨 수코미무스와 가까운 형태로 바뀌었지만, 결국 라이헨바흐의 척추 배열을 따르는 것으로 결론났다. 다리도 충분히 2족보행이 가능한 긴 다리가 맞았다. 7. 반수생설 스피노사우루스가 반수생 동물이라는 점이 확인되면서 발에 ...
아무도 보지 않지만 심심해서 써보는 저의 100가지 TMI
포스팅
l
20220903
시놉시스에서 막혀버림 84 글 쓸때 생각나는대로 쓰는 편이기 때문 85 저희 외삼촌이
지적
장애가 있으심 86 그래서 우영우에 나오는
지적
장애인분들볼때 진짜 연기 잘한다 감탄함 87 항상 이 세상에 의문이 있음 88 가슴속에 야망을 묻고 삼 89 어과동에 3년동안이나 (!) 있었음 90 빡치면 보통은 금방 잊지만 버튼 제대로 눌리면 ...
어제 적었던 글에 대해 얘기하겠습니다
포스팅
l
20220902
잘못한걸 인정합니다. 그냥 반모하는게 너무 꼴뵈기 싫어서 적어버렸네요. 더이상의 분란을 일으키지 않겠습니다.두번째는 제 말투를
지적
하시는 분들이 많았는데요 이건 그냥 제 말투입니다. 평소에 어디서든 이 말투에요. 시비조 말투로 느껴지면 고치려고 노력은 해보겠습니다.세번쨰로 제가 1학년이라는둥 인신공격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확실하게 저는 ...
진짜 되는일이 하나도 없네요..ㅎㅎ
포스팅
l
20220804
여기에서.. 제 상처가 아물려 했는데 다시 벌려진사건이 발생을 했구요..ㅎㅎ 구지 뭔일인진 말 안합니다 왜냐?저격이라고 분명
지적
하는 사람 계실테니까 ㅎㅎ오래하다보니 알겠더라구요 남 눈에 걸리적거리는 짓 하면분명 나한테 좋을거 없고, 상처만 생길거라는거.여기에서 그나마 하소연 하는거지 또 현실에선 밝은척해야해요 여기서 하소연하니까 좀 나은거지. ...
로블록스 배드워즈 논란
포스팅
l
20220703
배드워즈 를 반대하는 영상을 올렸습니다. 저도 가만이 있지는 말고 이런 홈페이지에다가 로블록스 배드워즈에 잘못된 점들을
지적
하기위해 지금도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로블록스 배드워즈 논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표절논란 많은분들도 아시다시피 배드워즈는 마인크래프트 '하이픽셀' 이라는 한 외국 서버에서 유명해졌습 ...
식용 목적 어류도 동물보호법이 보호해야 할 대상일까요?
토론
l
20220628
법 적용대상에 속하지 않는다”고 근거를 적었어요. 이에 동물해방물결은 물고기들이 식용이 아닌 집회의 도구로 사용됐던 점을
지적
하며 항고하겠다고 밝혔지요. 이런 논란 속에서 국내 동물보호법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요. 현행 동물보호법은 보호 대상 동물을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신경 체계가 발달한 척추동물’로 규정해요. 어류도 여기에 속 ...
포켓몬빵, 왜 열광하는가? -역사와 띠부씰
기사
l
20220617
일이 옛날 인기 시트콤인 SBS의 "순풍 산부인과" 에서도 관련 에피소드가 등장했다고 합니다. 극심한 인기로 생기는 이 부작용들을
지적
하는 기사들도 늘어나며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포켓몬빵으로 가정지도를 부탁하는 특별 가정통신문도 보냈다고 합니다. 그럼 기사 제목에서의 질문의 해답을 찾아보도록 하죠. 왜 옛날에도 여러분 출시 하였지만 도대 ...
GMO 식품, 과연 안전한 걸까?
포스팅
l
20220612
오염을 초래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기도 합니다. 또한 식품 부족의 문제에 관해서도 생산량의 증대만이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
합니다. 식품 부족이나 불균형의 문제는 식량 분배 구조의 문제이기 때문에, 단순히 식품 생산량을 늘린다고 해결할 수 없다는 의견이죠. 이렇게 이런 식품들이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기에 GMO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많지만 ...
환경오염 개선을 위해 세금을 더 낼 수 있다고요? '환경개선부담금'
포스팅
l
20220612
32.9%, 비동의 40.3%)도 절대 적지 않았고, 전체 응답자의 67.5%는 우리나라는 법규 자체보다 시민들의 의식 수준이 더 문제인 것 같다는
지적
을 하기도 했어요. "개선보다는 강제가 필요해요"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날로 커지면서 환경개선부담금 제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요. 연령과 관계없이 전체 응답자의 85%가 환경개선부담금 제도의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