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렵
사냥
헌팅
헌트
포식
탈취
획득
어린이과학동아
"
포획
"(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켜주세요, 푸른 지구!
기사
l
20211105
곳을 잃게 만들기도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숲을 마구 베면 동물들의 서식지는 사라집니다. 또 한 종의 생물을 많이
포획
하면 먹이사슬이 깨져 생태계의 질서가 무너지죠. 2019년 호주의 높은 기후로 인해 정말 거대한 산불이 났었는데요, 기억하시나요? 그 산불로 인해 멸종위기종인 코알라부터 그 숲에 살던 대부분의 많은 생명체는 죽었다고 해요. ...
이번 여름방학 바닷가에서 만난 신기한 해마
기사
l
20210830
해마는 옛날부터 난치병의 특효약이나 중국에서 약재로 활용되어 사람들이 많이
포획
하다보니 멸종위기까지 되어 보호중이지만 불법
포획
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제가 놓아준 해마가 새끼를 많이 낳아서 해마를 더 많이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올해 여름방학은 코로나 때문에 신나게 놀지는 못했지만, 살아있는 해마를 발견하고 관찰한 후 ...
님들 저 지금 슬픈거 봤어요
포스팅
l
20210829
ㅠㅠㅠㅠㅠㅠ 이거 말하기도.....힘들어요....일본이 6개월에 1700마리의 돌고래를
포획
하거나...도살했다고 합니다....저는 아쿠아리움에서 벨루가나 돌고래 보면 시위같은거 할려구요 자연방사를 위해서요.....(원래 돌고래의 수명이 40년인데 아쿠아리움이나 동물원에서는....10년도 안된다고 합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앗!!!! 아파트지하 주차장에 새가 들어갔다?!!
기사
l
20210826
안녕하세요 유아민기자입니다 얼마 전, 지하 주차장에서 새소리가 들려서 찾아보니 새가 지하주차장 파이프에 앉아서 애처롭게 울고 있었습니다. 새는 크기가 작은 직박구리였습니다. 지하주차장이긴 했지만, 외부로 ... 그리고 문자로 새 사진을 조직에서 전송해 주면 전문가들이 무슨 새인지를 파악하여 그 새의 특징을 고려해서
포획
할 수 있 ...
해리포터 - 210816 - 7
탐사기록
l
20210816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사마귀의 매미
포획
2 ...
SCP
포스팅
l
20210730
기자님들은 SCP(
포획
, 격리, 보호) 재단에서 뭐가 젤 무섭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SCP-517이 가장 무섭습니다. ...
곤충들의 사생활! 2화. 여왕개미 2부
포스팅
l
20210728
매서운 녀석이다. 달리기도 잽싸서 목표를 놓칠 때가 거의 없다. 그런데 그 개미가 여왕들 중 한 마리를 발견하곤 그 여왕을
포획
하러 뛰어온다. 긴 턱은 여왕을 커터칼처럼 난도질해 버리러 다가온다. 긴 다리는 먹잇감에게 공격을 받지 않게 거리두기를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여왕은 자신이 무슨 상황에 빠젓는지 파확하기도 전에 그 녀석의 다리가 여왕 ...
식충식물은 왜 곤충을 잡아먹을까?
기사
l
20210519
곤충에게는 단백질이 아주 풍부해서 그런 것이랍니다. 그럼 이번엔 식충식물이 어떤 방법으로 벌레를 잡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1번째
포획
형:잎을 빠르게 접어서 작은 곤충을 잡는 방법. 2번째 포충낭형:주머니 같은 모양으로 되어있는 잎을 가지고 있는데 잎 안으로 작은 곤충이 들어오면 소화 효소나 공생 세균의 활동으로 먹이를 소화하는 방법. 3번째 끈 ...
식충식물, 그것에 대한 모든 것 3탄(완결)
기사
l
20210505
통발처럼 물에살고 뿌리도 없는 녀석이고 감각모에 벌레가 닿으면 엄청난 속도로 빨아드리는데 100분에 1초로 벌레잡이식물들의
포획
속도 중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키우는 법은 통발과 거의 비슷합니다. 정리 통발 참조 에 마지막 기사인데 그냥 끝나면 섭섭하겠죠? 그레서 저의 베란다의 식물들을 소개하려 ...
환경을 해치는 생태계 교란종 3종
기사
l
20210421
정착하여 우리나라 토종 남생이와 자라의 서식지를 빼앗기 시작하였습니다. 요즘은 다행히도 여러 사람들이 이 거북들을
포획
하는 등 여러가지 실천으로 붉은귀거북들은 비로소 수가 안정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3. 뉴트리아 출처:위키백과 뉴트리아는 주로 남아메리카 대륙 남쪽 지방에 분포하였으며 이빨이 매우 날카로워 물리면 손가락이 절단 될 수도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