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nasa"(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다녀오다!기사 l20240613
- 지금도 여전히 달 궤도를 돌며 다양한 우주 탐사를 하고 있습니다. 다누리에는 6개의 탑재체가 실렸는데요. '영구음영지역 카메라'만 NASA가 만들고 나머지는 모두 우리나라에서 만들었습니다. 그 중에서 KIGAM에서 만든 는 빛의 파장을 이용해 달 표면에 있는 자원들을 탐사합니다. 제 방 천장에는 이 달려 있는데 ...
- 달 표면을 달릴 나만의 를 소개합니다!기사 l20240605
- 의 월면차는 작은 바퀴들이 2개씩 한 쌍으로 6쌍이 달려있어서 섬세한 위치 방향조절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NASA가 제작사들에게 요구한 월면차의 최고 속도는 1시간 당 15km! 한 번 충전한 뒤 19km를 달릴 수 있어야 하고, 우주 비행사가 한 번에 8시간 정도 운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
- 우주항공청 홍보 캐릭터 '벼리'를 소개합니다!기사 l20240529
- 재해석한 스누피와 젠피젠피, 윤춘호 등 한국 패션 디자이너들의 스누피 코스튬 등 회화, 조각, 인형, 아카이브 등 60점이 출품되니 NASA의 귀여운 달 탐사 마스코트인 스누피를 만나러 다녀오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의 귀여운 마스코트가 된 우주 토끼 '벼리'를 모두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 ... ...
- 대한민국에도 오로라가 관측 되었다고?기사 l20240519
- 캘리포니아 와 같은 중위도 지역에 오로라가 포착되었을까요? 바로 21년 만에 가장 강력한 태양 폭풍 때문입니다. 미국의 항공우주국 NASA의 태양 관측위성은 태양 활동이 활발한 증거인 다수의 흑점군을 발견했습니다. ▲태양으로부터 분출된 입자들이 우주 공간으로 나오는 모습입니다.이 입자들의 흐름이 바로 '태양폭풍'입니다. (출처:위키피디아) ▲ ...
- 고흥 나로우주축제, 우주의 희망에 한 걸음 내딛다.기사 l20240512
- 매일 매일 이 추억을 기억할 수 있도록 텀블러까지 선물로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전 이번 경험으로 제 미래의 희망 직업인 NASA 연구원에 대해 더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제가 잘 몰랐던 우주발사체에 대해 더 알게 되는 경험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방송에서만 보던 우주 발사대, 제 눈앞에 펼쳐지니 벅찼습니다. 돈으로는 살 ...
- 우주 기자단 신청 완료! 우주에 꼭 가고싶은 1인입니다..포스팅 l20240417
- 안녕하세요! 저는 찰떡 우주인 테스트에서 수잔 헴스가 나왔고NASA에 꼭 가보고 싶어서 기쁜 마음으로 어린이 우주 기자단까지 신청 완료했습니다.다른 분들은 어떤 이유로 우주인이 되고 싶은지 궁금하네요.토크토크에 글을 처음 써보는데 우주 좋아하시는 분들 계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
- 우주인 지원했어요!!!포스팅 l20240415
- NASA 우주인 우주센터에 너무 가보고 싶어요!!! ...
- 파비의 찰떡 우주인은 바로 바로?!포스팅 l20240401
- 혹시 아직 '나의 찰떡 우주인 테스트' 안 한 팝플 친구들 있나요~?파비의 찰떡 우주인은 바로 엔지니어 수잔 헴스예요! 논리적이고 행동력 있는 파비라니! 멋지지 않나요?ㅎ 팝플 친구들도 어서 테스트에 참여해 보세요~!*나의 찰떡 우주인 테스트 바로가기 ☞ https://press.popcornplanet.co.kr/astronaut/mbti 우주기자단도 가 ...
- 재미있는 우주항공 분야 이야기기사 l20240127
- (출처: 나무위키) 아르테미스 미션은 최근 캐나다, 호주, 한국 등 세계 21개국의 우주기구와 우주 관련 민간 기업들까지 연계된 미국 NASA (미국항공우주국) 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국제 달 유인 탐사 프로젝트입니다. 아르테미스 미션은 총 3단계로 진행되는데 1단계인 아르테미스 1호는 사람과 매우 유사한 마네킹을 싣고 발사돼 SLS (우주 ...
- [챌린지] 우리나라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의 아버지 최순달 박사님기사 l20230730
- 것이 전부였습니다. 힘든 과정을 버티며 최순달 박사님은 버클리대에서 석사학위를, 스탠포드대에서 전기공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7년간 근무하다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1985년 한국과학기술대학 초대 학장을 맡은 최순달 박사님은 1989년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초대 소장을 맡으며 인공위성 만들기를 시작했습니다. 외국 유학을 통해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