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
기장
기표
banner
기폭
기각
기드림
뉴스
"
깃발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은 스펙트럼이다] ③ 성별로 떠나는 여행
2018.03.21
성기를 가진 경우를 뜻하나 아직까지 규정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인터섹스를 상징하는
깃발
출처 : CC BY Intersex Australia DSD라는 단어를 사용하자는 주장이 곧 인터섹스가 장애 내지 질병이라는 주장은 아니다. 인터섹스는 의학적으로 보았을 때 호르몬이 과도하게 많이 나오거나 적게 나온다. ... ...
아이언맨 슈트 입고 성화봉송… 올 겨울 평창은 로봇의 성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종료됐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주관으로 열린 이 대회는 사람이 아닌 로봇이 5개의 기문(
깃발
)을 통과하고 속도를 겨루는 세계 최초의 로봇 스키대회로 세계 각국 보도진의 관심을 끌었다. 대회는 두 개 팀이 5개의 기문을 안정적으로 통과하는데 성공해 로봇스키기술이 실현 가능함을 보였다. ... ...
세계 첫 로봇 스키 금메달은 ‘태권브이’
동아사이언스
l
2018.02.13
열린 ‘스키로봇 챌린지’에서 1위를 차지한 스키로봇 ‘태권브이’가 기문(
깃발
)을 통과하고 있다. - 횡성=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제공 “해외에서 한국은 로봇 선진국으로 통한다. 오늘은 그 이미지가 허상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 자리였다.”(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스키로봇 ... ...
인간과 겨뤄보자! 로봇들의 설원 질주
동아사이언스
l
2018.02.12
말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총 8개 팀이 실력을 겨룬다. 인공지능(AI) 로봇이 기문(
깃발
)을 인식해 스스로 판단하고 스키를 탄다. 겨울올림픽 스키 대회와 대체로 비슷하지만 로봇의 특성을 감안해 규정과 난이도를 일부 변경했다. 코스 길이는 총 80m. 중간중간 설치한 두 개의 기문 사이를 다섯 번 ... ...
[때와 곳 6] 철도역: 배웅과 마중의 살가운 현장
2017.05.20
서서 저 멀리에서 달려오는 열차를 향해서 진입해도 된다는 표시로 역무원이 X자로 흰
깃발
을 흔든다. 그것은 한편 누군가에게는 반가운 마중의 눈웃음이자 아릿한 배웅의 손짓이 아닐까. ※ 편집자 주 [마음을 치는 시(詩)]와 [생활의 시선]에 연이어 윤병무 시인의 [때와 곳]을 연재합니다. 연재 ... ...
스마트폰으로 만드는 소프트웨어! 액션코딩 아이팝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3.24
간단한 코드로 예를 들어 볼까요? 그림이 움직이는 코드는 ‘사용자가 시작 버튼(
깃발
모양 버튼)을 누르면 그림이 움직인다’라는 문장이 되어야 해요. 따라서 가장 처음으로 들어가야 할 블록은 ‘시작 버튼을 클릭했을 때’라는 블록이에요. 그 밑에 ‘10만큼 움직이기’ 블록을 끼우면 ‘시작 ... ...
[사이언스지식IN] 정월대보름에 뜨는 달이 슈퍼문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9
깃발
위치를 보면 분명 달이 스스로 돌고 있는데 하필 지구 주변을 공전하면서 절묘하게
깃발
이 항상 지구를 향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구는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볼 수 있는 겁니다. Q4. 그렇다면 우리가 볼 수 없는 달 뒷면엔 무엇이 있나요? A. 지구에서 달 뒷면을 직접 보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 ...
불안정한 시국, 과학계 2017년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전망되고 있고 보호무역이 심화되는 상황을 고려하면 지금까지 추진해 온 혁신의
깃발
을 더욱 높이 들어야 하겠다”면서 “△스타트업 생태계를 공고히 하고 △평가제도 개선 등으로 현장 중심 정책을 추진하며 △우주핵심기술 개발 등 융합, 혁신 신산업 및 서비스를 창출하는 한편 △언어 및 ... ...
[#촛불집회]집단행동의 심리학(중): 어떤 사람이 시위에 참여하나?
2016.12.06
핵심은 “사회적 소외감”일지도 모릅니다. 촛불집회에 등장한 장수풍뎅이 연구회
깃발
. 최근 한국 사회의 집단 행동이 보이는 특징 중 하나는 참여자들의 다양성이다. 물론 본 사진의 장수풍뎅이 연구회 회원들은 사실 장수풍뎅이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 unknown 제공 ● 이질적인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유치환의 시 ‘
깃발
’에 나오는 ‘소리없는 아우성’은 시적 상상력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말이 안 되는 표현이다. 아우성의 사전적 정의가 ‘여럿이 악을 써 지르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이런 표현을 ‘모순 어법’이라고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